정치 대통령실

박근혜 대통령 "국제사회 최우선 해결과제는 북핵"

日 '안보법안' 투명 이행 촉구도<br>北 "대결소동 탓 이산상봉 위태"

박근혜 대통령이 28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을 겨냥해 추가 무력도발을 해서는 안 된다는 강력한 '경고'를 보냈고 국제사회를 향해서는 북핵 '공조'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뉴욕=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 핵은 국제 핵 비확산 체제와 인류가 바라는 핵무기 없는 세상으로 나가기 위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되는 과제"라며 "이제 마지막 남은 비확산 과제인 북한 핵문제 해결에 국제사회의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은 추가 도발보다 개혁과 개방으로 주민들이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북한 인권개선도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년간 인권 분야에서 국제사회의 큰 이목을 끈 사안 중 하나는 바로 북한 인권 문제"라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에 귀를 기울여 인권개선에 나설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은 다음달로 예정된 이산가족 상봉에 대해 "(남북 간) 새로운 선순환의 동력은 8·25합의를 잘 이행해나가면서 화해와 협력을 위한 구체적 조치들을 실천하는 데 있다"며 "특히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인도주의 문제가 정치·군사적 이유로 더 이상 외면돼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는 투명성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에 통과된 일본의 방위안보 법률은 역내국가 간 선린우호 관계와 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투명성 있게 이행돼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2차대전 당시 혹독한 여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이제 몇 분 남아 있지 않다"며 "이분들이 살아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거를 인지하지 못하고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길은 없다"고 밝힌 뒤 "이제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유엔에 담긴 인류애를 향한 영원한 동반자 정신이 널리 퍼지기 바란다"며 일본 정부의 전향적 태도변화를 촉구했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