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만한 지방 아파트 사업에는 금융권이 아예 거들떠 보지도 않습니다.” (A건설사 주택사업담당 임원) “지방 주택사업 의존도가 높으면 (금융권이) 색안경부터 끼고 보는 분위기입니다.” (S시행사 관계자) 정부 규제 강화와 미분양 적체로 신음하고 있는 지방 주택건설시장이 신규 사업이나 회사 운영을 위한 자금확보 줄까지 막히면서 고사(枯死) 직전 상황에 놓였다. 업계는 현재 웬만한 중견 주택건설업체라도 자기 돈이 아니면 지방에서 아파트 사업은 생각조차 못할 상황이라고 아우성이다. 과잉공급에 따른 미분양 적체로 신음하고 있는 지방에서 금융권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방식의 신규 개발사업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신용도가 높은 상위 20~30개사를 제외하면 금융권이 아예 지방 사업에는 PF 자체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시행사인 H사의 한 관계자는 “중견급 건설업체가 시공을 맡은 지방 프로젝트는 금융권이 신규 PF를 검토조차 하지 않는다”며 “사업이 중단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행사가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부터 새로 PF보증사업에 뛰어든 대한주택보증조차 심사기준을 대폭 강화하면서 사실상 신규 보증업무를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주택보증의 한 관계자는 “시장상황이 워낙 안 좋다 보니 선뜻 PF보증사업을 확대하지 못하고 있다”며 “사업성이 높은 수도권 등으로 대상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지방에서 PF를 일으키려면 최소한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용도가 높은 대형 업체가 시공사로 참여한 택지개발지구 또는 분양률이 높은 A급 사업지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다 보니 오히려 서울이나 수도권 택지개발지구 등으로 금융권의 대출이 집중되면서 업체별ㆍ지역별로 자금 사정이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W사의 한 관계자는 “지방 건설경기 침체가 가속화하면서 수도권에서는 금융권들이 PF를 위해 오히려 치열하게 경쟁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아파트는 그나마 좀 나은 편이다. 상가 등 수익성 부동산 상품에 대해서는 아예 금융권이 PF 검토 대상에서 제외시켰다는 것이다. 경기도 A시에서 대규모 복합상가 개발을 추진 중이던 B사는 최근 사업을 잠정 보류했다. 은행 측이 아예 “상가는 PF 대상이 안된다”며 거부했기 때문이다. 업계 일부에서는 금융권이 지방 사업 비중이 높은 일부 중견 주택업체들의 리스트를 만들어 특별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지방 사업 비중이 높은 일부 업체에 대해서는 신규 회사채 발행을 거부하거나 추가 금리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벌써 업계 내부에는 지나치게 지방 분양물량이 많았던 일부 업체에 대한 부도 위기설까지 나돌고 있다”며 “금융권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 자칫 업계 전체가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