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社 中무선랜시장 진출 제동

앞으로 중국 무선랜 시장에 진출하려는 해외 기업들은 반드시 중국 기술 표준을 채택해야 한다. 중국 정부가 이 같은 강제 규정을 지난 1일부터 발효, 이를 따르는 업체에 한해 시장 진출을 허용했기 때문. 이와 관련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은 이는 3G(세대) 이동통신ㆍDVDㆍ디지털 TV 등 미래 유망 정보기술(IT)과 관련 자국 기술을 글로벌 스탠더드화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 무선랜 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들의 전략에 일대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10일 보도했다. 이에 따라 시스코ㆍ루슨트ㆍ마이크로소프트(MS)ㆍ델 등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장 진출을 검토하고 있는 관련 업체들은 화웨이ㆍ센양뉴소프트ㆍ레전드 등 11개 중국 기업 중 하나를 선택, 제휴를 맺어야 한다. 문제는 중국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무선랜 기술이 현재 범용화 되고 있는 세계 표준과 완전 다르다는 점. 현재 무선랜 서비스가 상용화된 한국ㆍ미국ㆍ유럽 등지에서는 대부분 `와이파이(Wi-Fi)`로 불리는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나 중국 표준은 이와는 전혀 별개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또 제휴시 지적 재산권 유출 문제가 있으며, 중국 기업들이 터무니 없이 높은 로열티를 요구하거나 기술 제휴를 아예 거절한다고 해도 이를 막을 수단이 현재로선 없다고 볼멘소리다. 이 같은 우려는 특히 해외 기업들과 각각의 중국 기술 제휴 후보 업체들이 현재 대부분 첨예한 경쟁 또는 갈등 관계에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실로 나타날 공산이 크다. 일례로 시스코는 지난 1월 지적 재산권 침해 혐의로 유력한 제휴선인 중국 화웨이를 미국에서 제소한 바 있다. 중국의 이 같은 배짱 대응에도 불구 해외 기업들은 1억명에 육박하는 네티즌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 시장을 양보할 수 없는 입장이어서 향후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김창익기자 window@sed.co.kr>

관련기사



김창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