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새 수장맞은 과기부의 과제와 고민

과학기술부를 이끌었던 오 명 부총리가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논문조작 파문 와중에서 퇴진하고 김우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부총리에 내정되면서 수장이 바뀐 과학기술부의 향후 진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부총리는 일단 이공계 출신의 대학 총장을 역임한 데다 청와대 비서실장으로원만한 관리능력을 보여준 만큼 중책을 무난히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과학계와 관가 안팎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특히 지난해 8월까지 1년6개월 동안 비서실장으로 재직하면서 파열음없는 합리적 관리능력을 발휘하는 경륜을 보여 향후 부총리급 부처를 이끌어가는데도 별다른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게 관가 주변의 관측이다. 김 부총리는 또 지난해 8월 퇴임 기자회견때도 스스로 "대통령과 얘기하면서 얼굴을 붉힌 적도 2∼3차례 있었다"고 밝힐 정도로 직언을 서슴지 않는 소신파여서 지금처럼 민감한 시기에 오히려 적절한 수장이라는 지적도 흘러나온다. 과기부 관계자는 "이공계 출신의 대학총장 경력 등 과기부에 어울리는 그간의풍부한 경륜을 미뤄볼 때 부처를 무난히 이끌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반응과 기대가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제 과학계에 엄청난 파문을 몰고 온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2005년 사이언스 논문조작과 이후의 국내 과학계의 실추된 위상 회복 등 결코 만만치 않은 현안들이 기다리고 있어 상황이 그리 녹록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당장 오는 10일 서울대 조사위원회가 황 교수의 논문 조작사건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이어 검찰 수사가 이어지는 등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황 교수의 논문 조작사건 이후 끝없이 추락한 과학계의 신뢰와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정책 마련이 뒤따라야한다는 목소리도 높은 상황이다. 김 부총리는 우선 황 교수의 논문조작과 같은 유사사건 재발 방지대책과 연구비재조정, 과학계의 사기 진작책, 이미지 회복 등의 다양한 현안을 서둘러 해결해야할것으로 보인다. 또 대외적으로는 과기부가 숙원사업으로 추진해온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 배출사업'이 러시아의 사정으로 일정 조정이 불가피하게 된 상황 등도 적잖은 고민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