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새 정부 지원 기대감 큰 평창 가보니…

"토지거래허가구역 풀려야 숨통 트일 것"<br>올림픽 유치 후 땅값 올랐지만 외지인 발길 줄어 거래 올스톱<br>박근혜 당선인 공약실천에 시선집중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이후 평창군 대관령면 일대는 부동산 거래가 전면 중단되면서 지역 경제까지 악화되고 있다. 수요자의 발길이 끊겨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인 대관령면 인근 중개업소 모습. /서울경제DB

"수혜지역이요? 2년 동안 거래를 한 건도 못했습니다. 올림픽 유치가 확정되고 토지거래허가 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이 지역을 찾는 사람이 없습니다."(강원도 평창군 D중개업소 대표)

새 정부 출범 이후 수혜 지역으로 손꼽히는 강원도 평창군. 스키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이곳 주변 스키장은 늘 붐비지만 정작 현지 주민들은 심각한 부동산 시장 침체로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올림픽 유치를 전후해 대관령면 일대 곳곳에 들어선 부동산 중개업소는 사람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한산했다. 문의전화는 끊긴지 오래고 가끔 주민들이 들러 차나 한 잔 마시는 동네 사랑방이 된 지 오래다. 거리에 오가는 사람도 드물었다. 이곳 주민들은 올림픽 유치 이후 광범위하게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지역 경제까지 파탄 내고 있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주민 신모(55)씨는 "주변 식당 매출도 30~40% 정도 줄었다"며 "알펜시아나 용평 리조트 등 대기업만 잘되고 주민들은 모두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올림픽 유치 확정 후 침체 심화=평창군 일대 땅값은 올림픽 유치 확정 후 반짝 올랐다. 평창군 대관령면 일대 밭(관리지역)은 2005년 3.3㎡당 14만원 정도에서 현재는 20만~30만원선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거래도 뚝 끊겼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평창군 일대 전체로 지정되면서 토지거래가 끊기고 외지인의 발길도 줄어들었다.


땅값이 오르면서 남의 땅을 빌려 농사를 짓던 주민들은 더 이상 생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리조트 직원이나 자신이 갖고 있던 작은 땅에 펜션을 지어 운영하며 살고 있다.

관련기사



D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밭을 빌려 농사를 지으면 3.3㎡당 3,000원을 줘야 한다"며 "땅값이 오르면서 임대료도 올라 수지가 맞지 않는 사람들은 농사를 포기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허가구역이 해제되면 지역 경제에 다소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H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허가구역이 해제되면 '떴다방' 등이 보유했던 토지가 시장에 나오면서 땅값 거품이 빠질 것"이라며 "시장이 정상화되면 지역경제도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관건=주민들은 상반기 중 허가구역 해제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강원도에서 상반기에는 평창 일대를 올림픽 특구로 지정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

강원도 동계올림픽추진본부 관계자도 "향후 올림픽 특구가 지정되면 필요 이외 지역에 대해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제한을 풀 것"이라면서도 "필요 이외 지역 전부를 해제할 것인지, 일부를 해제할 것인지는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의 시선은 새 정부에 향해 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공약이 제대로 실천된다면 평창 지역에 새로운 활력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범연 대관령면 비상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결국 돈 문제로 동계올림픽 관련 개발이 틀어지고 있다"며 "새 정부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한 만큼 지역 주민들의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