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 무선통신업계 도약 호기

中 이동전화 CDMA방식 결정 파급효과중국정부가 미국 퀄컴사와 기술사용료에 대해 최종 합의함에 따라 국내 무선통신 업계의 위상이 세계 속에 우뚝 솟아날 호기를 맞았다. 이번 합의는 유럽형 GSM 방식의 무선통신만을 고집하던 중국이 CDMA방식의 무선통신 시장도 허용,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국내 무선통신업계에는 미국과 유럽, 내수시장에 이어 중국이라는 새로운 거대 무선통신 시장을 확보하는 것을 뜻한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명실상부하게 세계 무선통신의 핵심 공급국가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세계적인 기술력과 지리적 이점을 안고 있는 국내기업들이 중국이라는 신규 시장의 가장 큰 수혜를 얻을 경우 에릭슨, 노키아, 모토롤라가 장악하고 있는 세계 무선통신 시장의 판도에도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산업 파급효과 얼마나 되나= 중국 정부는 CDMA 방식의 무선통신 시장을 올해부터 2005년까지 향후 6년간 매년 1천만 회선씩 구축해 나갈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 시장의 상당 부분을 국내 무선통신업계가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삼성전자, LG정보통신, 현대전자 등 기존 무선단말기 및 장비공급업체는 물론 이들 완성품업체에게 핵심 부품을 공급해주는 협력업체들이 모두 중국 특수를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 LG정보통신 무선단말기 사업팀의 張裁源차장은 이와 관련, 『중국의 CDMA 시장이 열릴 경우 2005년까지 매년 40억 달러 정도의 시장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 가운데 장비시장의 20~30%와 단말기 시장의 50% 가량은 국내 기업들이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업계의 CDMA 방식 무선단말기 생산 기술이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섰다는 점과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는 이점이 충분히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다. 그는 『장비시장의 경우도 초기에는 중국이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겠지만 국내 기업들의 기술수준을 감안할 때 빠른 속도로 시장을 장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합의는 또 CDMA 방식 무선통신 시장을 허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차세대 무선통신 시장인 IMT-2000 사업에 대해서도 한국과 중국이 손을 맞잡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가들은 『IMT-2000은 GSM방식과 CDMA방식이라는 두개의 근간에서 접근할 수 있다』며 『중국이 CDMA방식 무선통신 시장을 허용함에 따라 이를 근간으로 한 IMT-2000 사업도 펼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中 진출 걸림돌은 이번 합의로 중국이 CDMA 방식의 무선통신 시장을 시작한다 해도 당장은 단말기 시장이 아닌 시스템장비 시장에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사실상 기득권을 확보한 미국기업들이 시장을 선점하게 되며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초기 사업자로 지정되는 것이 유력한 정도다. 여타 기업들은 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등한 조건에서 중국 정부로부터 시스템장비 사업자 자격을 획득해야 한다. 반면 중국 정부는 사업자 선정의 조건으로 현지에 기술이전을 완벽하게 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 무선통신업계 관계자는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지만 어느 수준까지 이전시켜 줄 것인가를 정하는 것 등 미묘하고 까다로운 사안들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단말기 부문은 더더욱 까다로운 문제가 남아있다. 중국의 무선통신 사업자 및 가입자들은 현재 CDMA방식 무선통신에도 GSM 방식의 무선통신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GSM방식의 무선통신은 회원카드를 부여해 어떠한 단말기라도 카드를 삽입하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돼 있다. 반면 CDMA 방식은 이 같이 회원카드에 의한 호환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새로운 방식에 대한 일종의 거부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 국내 휴대폰 단말기 업체 관계자는 『CDMA 방식의 단말기로는 중국 사업자나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현지 사업자와 소비자들을 상대로 보다 적극적으로 CDMA 방식 무선통신의 장점을 알리는 것 외에 뾰족한 묘안이 없다』고 말했다. 이 밖에 국내 기업들이 중국의 무선통신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할 경우 일정한 수준 이상의 현지 AS요원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느냐는 점도 관건이다. 김형기기자KKIM@SED.CO.KR 김창익기자WINDOW@SED.CO.KR

관련기사



김형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