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 부총리의 '색깔' 주장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은 18일 부총리취임 이후 처음 가진 정례브리핑 끝무렵에 자신을 `변화를 지향하는 합리적인 시장주의자로 봐달라'고 특별히 당부를 했다. 한 부총리가 스스로 자기 정체성에 대한 주장을 하고 나선데에는 부총리 취임이후 언론에 소개된 `무색무취'에 대한 반론으로 보인다. 한 부총리는 지난 15일 취임기자회견에서 "정책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색깔이 좀 없어야할 것 같다"고 언급했다. 한 부총리는 참여정부가 그동안 열심히 해서 국가사회의 발전방향을 잡았고 수많은 법과 제도를 만들었으니 이런 것들을 다시 고치기 보다는 하루 빨리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도록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 부총리의 이런 언급을 시장에서는 좀 다르게 해석한 것 같다. 한 부총리의 이력을 보면 결정권을 행사해야하는 기관장 보다는 주로 보좌역에 많이 포진했고, 경제기획원 출신으로 금융, 세제에 대한 기초가 없다는 지적이 더해져 재경부 관리들에게 휘둘리기 쉽상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취임 기자회견에서 이헌재 전 부총리에게 100점을 주겠다고 했는데 기존의 정책을 흔들림없이 일관성있게 추진하는 것은 좋지만 너무 색깔이 없으면 시장이 원하는경제수장으로서 무게감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한 부총리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변화를 지향하는' 합리적인 시장주의자로 봐달라는 당부한 것은 이런 세간의 인식을 의식한 때문으로 보인다. 그는 정례브리핑 자리에서 "취임당시 색깔없는 부총리가 되도 좋다고 얘기한 것은 참여정부 2년간 이헌재 부총리가 좋은 정책을 많이 만들었고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것에 최선의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의미였다"고 설명했다. 취임이후 1주일이 채 안된 시점에서 한 부총리의 이같은 자기 해명은 이해가 가는 부분이 없지 않지만 좀 일러 보인다. 무엇보다 한 부총리에 대한 평가는 정책의생산과 집행 과정에서 시장이 평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 부총리는 지난 16일 이헌재 전 부총리를 만나 인수인계를 받았다고 말했다. 한 부총리가 이헌재 전 부총리를 뛰어넘는 경제수장으로 평가를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진병태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