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시중銀, 中企여신 특별관리

연체율 속등속 올 160조 만기도래따라 특별약정체결등 추진

대형 시중은행들이 중소기업 여신에 대한 특별관리에 들어갔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중소기업 대출이 무려 160조원에 이르는 가운데 연체율이 속등해 여신회수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거래 중소기업 가운데 부실 조짐이 보여 ‘요주의’로 분류된 300~400개 기업을 대상으로 부채비율 등 재무건전성 목표를 정해 특별 약정을 맺어 관리에 들어갔다. 특히 특별약정을 체결한 후 지키지 못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을 회수하고 경영권ㆍ영업권ㆍ외상매출채권 등을 담보로 받을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또 여신규모 5억원 이상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부실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조기경보시스템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중소기업 여신 연체율이 지난 3월 말 3.74%에서 4월 말 4.01%로 올랐다. 국민은행의 중소기업 여신 관계자는 “중소기업 연체율이 5월에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특별관리를 통해 부실여신 상승을 제어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내리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차이나 쇼크’가 대출 부실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중국 현지에 진출해 있는 국내 중소기업의 여신현황 파악에 나섰다. 우리은행은 여신이 5억원이 넘는 중소기업 가운데 중국정부의 긴축정책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업체나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업체, 중국 금리인상과 위앤화 평가절상시 충격을 받게 될 업체 등의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또 중소기업 대출 연체액 6,100억원을 오는 6월 말까지 2,500억원으로 낮추는 ‘연체와의 전쟁’을 진행하고 있다. 조흥ㆍ기업은행은 ‘프리워크아웃’제도를 통해 워크아웃을 적용할 업체에 대한 심사작업을 벌이고 있다. 프리워크아웃은 부실 징후가 있는 중소기업을 선별해 만기연장ㆍ채무재조정ㆍ이자감면 등의 조치를 취해 부실을 최소화하면서 정상화를 지원하는 제도다. 외환은행은 대출 중소기업 가운데 일시적 유동성 위기가 있는 우량 기업을 중점으로 ‘지도기업’ 선정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은행도 ‘중소기업 경영안정 긴급지원제도’ ‘워크아웃제도’를 운영하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