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면받는 '경제교육'

일반계 고교생 4명중 1명만이 선택

경제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일반계 고교생 중 사회 선택영역에서 경제과목을 택하는 학생은 4명 중 1명꼴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수업은 물론 사회과 수업에서도 경제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낮은 것이다. 1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경제교육지원법’ 제정을 위한 공청회에서 천규승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교육협의회 사무국장은 “학교에서 경제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천 국장은 “제7차 교육과정의 국민 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 경제 기본원리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사회과 경제영역의 수업시간은 총 수업시간의 0.7%, 사회과 총 수업시간에서도 6.1%로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일반계 고교 2ㆍ3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 사회영역의 경제과목을 선택하는 학생은 25.4%에 불과했으며 경제관련 과목인 과학영역의 가정과학, 교양영역의 생활경제를 택한 학생도 각각 14.1%, 10.2%에 그쳤다. 부실한 경제교육 환경에서 경제에 대한 국민 일반의 관심은 높아져 교사나 경제전문가들은 경제교육의 강화 필요성에 대부분 동의했다. 강호인 재정경제부 정책기획관은 “6월 실시한 설문결과 경제전문가의 75.8%, 교사의 73.8%가 ‘경제교육이 아주 많이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