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2012년까지 1조7,800억 투입

태양광등 신재생에너지 5개분야 육성

경기도가 오는 2012년까지 민간자본을 포함해 1조7,800억원을 투입해 신재생에너지 5개 분야를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육성 분야는 태양광과 연료전지, 풍력, 바이오가스 및 발광다이오드(LED)이다. 도는 공공기관 유휴지 내에 태양광발전시설을, 산업단지 내에 연료전지 발전소를 적극 유치하기로 했다. 투자 예상금액은 내년까지 4,520억원이다. 도는 1차로 오는 27일 수원, 안산 양평지역 유휴지에 5㎿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시설(사업비 270억원)을 조성할 계획이며 해당 시 및 태양광발전시설 업체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기로 했다. 도는 또 내년부터 1조3,000억원을 투자해 시화지구와 화옹지구 방조제에 풍력발전 단지를 조성하고, 2012년 말을 축산농가가 밀집한 이천, 포천 등에 바이오가스플랜트를 건립하기로 했다. 도는 이 같은 계획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유휴 국ㆍ공유지에 대한 무상임대 등이 가능하도록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개정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으며, 신재생에너지 사업지원을 위한 조례 개정도 추진할 방침이다. 또 특별계정, 펀드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확대도 검토하기로 했다. 도는 LED 수요 확대를 위해 도립의료원, 사업소 등 29개 도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ESCO사업을 시범 실시한 뒤 민간 부문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하고 다음달 1일 에너지관리공단, ESCO협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로 했다. ESCO사업은 에너지관리공단에 등록된 업체(ESCO)가 에너지 절약 시설을 설치하면 에너지 사용자는 에너지 절감비용으로 투자비를 분할 상환하는 사업이다. 도는 이 같은 신재생에너지 육성사업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보급률을 지난 2008년 4%에서 2015년 07%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7%로 상승할 경우 연간 9억7,000만 달러의 연료수입 대체 효과와 연간 517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도는 전망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