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랬던 김 위원장이 우리금융 매각 카드를 또다시 들고나왔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3일 우리금융 매각소위를 열고 우리금융 매각 주관사 재선정 작업에 착수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매각주관사 재선정을 우리금융 매각을 위한 사전작업으로 해석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우리금융 매각 의지를 보여주겠다는 뜻"이라면서도 "실제 매각절차가 개시될지는 시장 상황에 달렸다"고 말했다.
우리금융 매각에 대한 김 위원장의 소신은 확고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우리금융 매각은 정치 일정과는 무관하게 추진돼야 한다'는 것이 김 위원장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실제 김 위원장은 "이번 정부에서 안 되는 매각이 다음 정부에서는 되겠느냐"며 "우리금융 매각을 원칙대로 추진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시장은 여전히 회의적이다. 김 위원장의 과욕이라는 얘기다.
근거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시장상황이 지난해와 달라진 바가 없다.
김 위원장이 내심 바랐던 인수후보인 산은지주는 우리금융 인수에 뛰어들 여력이 없다. 산은지주는 올해 10월 예정된 기업공개(IPO) 성공에 올인해야 할 처지다. 이미 실패한 모델이기도 하다.
최근 외환은행을 사들인 하나금융그룹은 내부 추스르기에도 힘이 부치는 모양새다. KB국민지주나 신한금융지주가 유력 인수후보로 거론되지만 금융지주가 다른 금융지주를 인수하기 위해서는 지분 95%를 사들여야 한다는 '95%룰'에 막혀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난해 95%룰을 완화하기 위해 국회를 설득했지만 실패했다. 이 룰을 바꾸는 일에 얽매일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사실상 이런 방식으로는 우리금융지주 매각은 어렵다는 얘기다. 이론적으로는 합병 방식의 매각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지난해 우리금융 매각 때도 실현되지 못한 모델이다.
또 한 가지 문제점은 메가뱅크 논란이다. 은행을 소유한 금융지주가 우리금융을 사들일 경우 메가뱅크 논란은 필연적으로 불거질 수밖에 없다. 은행 산업의 독과점 문제가 수면 위로 부상할 수 있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이를 추진할 힘이 현실적으로 없다. 4대금융지주회장들의 경우 정권 말에 갈수록 입지가 현저히 줄어들 수밖에 없는 탓이다.
우리금융 민영화론이 다시 한번 공허한 논쟁의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