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정원 ‘통화내역 조회’ 편법 남발

한나라 권영세의원 밝혀…작년 휴대폰 조회 2배 늘어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사전에 국정원장 직인을 찍은 조회요청서를 갖고 다니며 임의로 통화내역을 조회하는 등 법적 절차를 무시한 편법을 동원하고 있다고 한나라당 권영세(權寧世) 의원이 1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 해 국가정보원의 휴대폰 통화내역 조회건수는 2002년보다 107.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 의원이 SK 텔레콤, LG 텔레콤, KTF 등 이통통신 3사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정원의 휴대폰 통화기록 조회 건수는 2002년 9,950건에서 2003년 2만 660 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권 의원은 특히 “통신비밀보호법상 국정원이 통신업체에 통화내역 조회를 의뢰하려면 그 때마다 국정원장의 승인을 받은 요청서를 제출해야 한다”며 “그러나 국정원 직원들은 원장의 직인이 찍혀 있는 빈 문서를 갖고 다니다가 조회할 휴대폰 번호 등 관련 정보를 적어내는 방법으로 통화내역 조회를 남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검찰과 경찰 등까지 포함한 수사ㆍ정보기관들의 전체 휴대폰 통화 기록 조회 건수는 2002년 19만 6,655건에서 지난 해 31만 8,461건으로 62% 증가기업인 줄소환 앞두고 재계 초비상했다. 최근 정보통신부가 유ㆍ무선 통신을 합해 발표한 증가율은 36%였다. 권 의원은 이에 대해 “국정원이 일간지 기자 휴대폰 통화 기록을 조회한 사실이 드러나자 요즘에 별로 사용하지 않는 유선전화 조회기록까지 포함시켜 `물타기`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는 특별조사단을 구성, 17일 이동통신 3사를 방문해 현장 검증을 실시한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kr>

관련기사



최문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