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아 부도방지협약 적용 경제계 파장

◎부도 신드롬 “경제 내우외환” 우려/금융권 대혼란·대외신인도 다시 추락/회복경기에 찬물 불황장기화 가능성총 자산기준 재계 서열 8위, 연간 30억달러를 넘는 자동차 수출실적 등을 자랑하던 기아그룹이 마침내 사실상의 부도상태에 들어섰다. 이번 기아그룹내 18개 계열기업에 대한 부실징후기업 정상화지원대상 선정은 한보, 삼미그룹의 부도와 진로, 대농그룹의 정상화지원대상 선정 등 올들어 잇달아 터진 대기업들의 붕괴와 비교할 때 그 차원을 달리한다. 무엇보다도 대기업, 특히 국내 10대 재벌은 절대로 넘어지지 않는다는 신화가 무너진 것이다. 사실 그동안 금융계 일각에서 기아그룹의 부도위기설, 혹은 부도방지협약 정상화대상기업 선정 가능성 등의 루머가 나돌았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실성이 없는 얘기로 치부해왔다. 10조원에 육박하는 금융권 여신과 지난 4월말 현재 자산규모 1조4천2백87억원, 28개의 계열사를 거느린 재계 서열 8위의 기아그룹이 정상화대상기업으로 선정될 경우 그 경제적 파장은 국가경제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는 잠재의식때문이었다. 이같은 상황에서 15일 갑자기 이뤄진 기아그룹의 정상화대상기업 선정은 이제 10대그룹조차 안전지대에 있는게 아니라는 사실을 실감케 하고 있다. 기아의 정상화지원대상 선정은 당장 국내 금융시장을 크게 뒤흔들었다. 올들어 연이어 터진 대기업들의 부도 혹은 부도위기에 따른 후유증에서 간신히 벗어나려던 주식시장은 기아소식이 알려지면서 종합주가지수가 한때 전일대비 16포인트 이상 급락했고 채권시장에서는 아예 거래가 끊겨 회사채수익률이 연 12%대에 육박하는 양상을 보였다. 기아사태로 인한 금융시장의 충격파는 두고두고 직접금융시장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올들어 연이어 발생한 부도 등으로 부실여신을 잔뜩 떠안은 일부 은행들은 거의 회생불가능한 상황으로까지 치달을 것으로 우려되고 기아에 대한 여신이 많은 일부 종금사들은 도산위기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다는게 금융권의 지적이다. 기아그룹의 부도방지협약 정상화대상기업 선정은 우리나라에 대한 대외신인도에도 결정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기아그룹에 10조원에 육박하는 대출을 해준 국내 1, 2금융권내 금융기관들은 이번 기아의 정상화대상기업 선정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받게 됐다. 이들 대출이 모두 부실여신으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부실화 가능성이 무엇보다 높은 여신이라는 점에서 국내 금융기관들의 부실화 우려를 증폭시키면서 대외영업활동에 큰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기아의 정상화대상기업 선정은 최근들어 다소 호전되는 기미를 보였던 국내 금융기관들의 해외차입여건 개선조짐에도 찬물을 끼얹는 결과를 낳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금융시장에서 차주들은 금융기관들의 부실여신 보유규모에 부쩍 민감해졌기 때문이다. 또 이번 기아사태로 인해 가뜩이나 보수적이었던 금융기관들의 여신운용 패턴이 더욱 보수화함으로써 기업들의 자금난 악화를 부채질할 전망이다. 물론 정부와 한국은행이 이번 사태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감안, 기아의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에 자금을 지원하겠다며 발빠르게 대처하고 나섰지만 이는 일시적인 시중 유동성 경색을 막는 효과에 그칠 뿐 연쇄적인 충격파를 막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라는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더구나 이번 사태는 국내 경기사이클상 경기저점의 도래, 즉 경기회복시기에도 적잖은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제반 거시경제지표상으로 나타나던 경기회복기미가 기업과 금융, 가계 등 경제주체들의 심리를 극도로 위축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기아사태는 10대 재벌기업도 넘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시키면서 기업들이 외부차입금에만 의존하는 경영방식에서 탈피하도록 압박하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가 경제전반에 끼얹은 파장은 한 기업의 흥망성쇠가 국가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우리의 현실을 감안, 기업경영의 공공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교훈으로 남기고 있다.<김상석 기자>

관련기사



김상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