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ICT보안으로 공든탑 지킨다] IPv6 도입하면 보안 걱정 끝

보안 프로토콜 기본 탑재 데이터 무결·가용·기밀성 보장

기존 IPv4 주소 고갈에 美·유럽도 앞다퉈 전환

도입 기업 지원책 필요

한국인터넷진흥원 직원들이 지난 5월 서울 강남구 서초청사에 개소한 IPv6 종합지원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 보안이 사회적 이슈로 급부상하면서 무제한인터넷주소(IPv6)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별도의 보안기능을 따로 설치해야 했던 기존 인터넷주소(IPv4)와 달리 IPv6는 IPSec이라는 보안 프로토콜이 기본적으로 탑재돼 데이터의 무결성ㆍ가용성ㆍ기밀성 등을 모두 보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올해를 'IPv6 서비스 원년'으로 정하고 하반기부터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 웹사이트에 대한 IPv6 상용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지난 3월에는 네트워크ㆍ서비스ㆍ단말 전 구간에 IPv6가 적용될 수 있도록 민·관 합동의 'IPv6 확산 로드맵'을 발표했다.


IPv6 사용은 단지 보안만의 문제가 아니다. IPv6는 처음에는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열결되는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도래,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유무선 스마트 단말기의 증가 등으로 인터넷주소가 고갈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의가 시작됐다. IPv6는 IPv4를 대체하고자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가 만든 주소 체계다. 주소 개수가 약 43억 개였던 32비트 체계의 IPv4에 비해 128비트 체계의 IPv6는 표현 가능한 주소 수가 무려 3.4x(10의 38승) 개에 달한다. 사실상 무제한이다.

관련기사



IPv6는 또 자동으로 IP주소를 설정할 수 있고, 사설 IP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말기 간에 1대1 통신도 가능하다. 또 이용자가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해도 IP 주소가 바뀌지 않고 그대로 쓸 수 있어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Pv6로의 전환을 서두르는 것은 최근 나타나는 세계적 트랜드다.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가 지난 2011년 IPv4 주소 고갈을 선언함에 따라 미국과 유럽 등이 IPv6 도입에 앞장서고 있다. 미국은 정부와 공공기관에 IPv6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민간분야에 일종의 모범사례로 제시했고, 유럽공동체(EC)도 인프라, 어플리케이션(앱),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IPv6를 도입하기 위해서 태스크포스팀을 운영 중이다.

국내에서 IPv6를 확산하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적극적인 투자를 꺼리고 있다는 점이다. IPv6를 위해선 네트워크ㆍ서비스ㆍ단말기 등 각 분야의 기업들이 장비를 바꾸고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데 비용 부담을 이유로 도입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IPv6 도입에 적극 나서는 기업들에게 다양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여기에 IPv6 환경에서의 보안 취약점ㆍ위협에 대한 사회와 기업의 막연한 불안감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또 IPv4에 비해 IPv6 관련 정보보호 제품 개발이 아직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임준형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주소산업팀장은 "IPv6로의 전환은 단순히 부족한 주소의 해소를 위해서가 아니라 보안기능 탑재, 이동성, 서비스 품질 보장 등 IPv4에 비해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더욱 필수적"이라며 "IPv6 조기 전환을 위해 인프라 확충 및 신규서비스 개발, 국산 IPv6 네트워크 장비 개발 등 산업 육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