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위기 키운 위기관리시스템 인적 쇄신 등 대수술 불가피

방미수행단 전원 전방위 조사<br>홍보수석실 개선 작업 착수

청와대가 ‘윤창중 사태’를 계기로 드러난 허술한 위기관리 시스템에 대해 재정비 작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의 일환으로 이번 미국 순방에 동행한 수행단 전원에 대해 강도 높은 전방위 조사에 착수했고, 특히 홍보수석실 관계자들에 대해서는 감찰 수준의 조사를 벌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대변인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을 수행하던 중 성추문에 휩싸여 중도 귀국하고 전격적으로 경질된 전대미문의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사건 발생 초기단계에서부터 초동대응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참모들 간 책임공방이 불거지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데도 26시간이 소요되는 등 총체적인 난맥상이 불거진 것도 시스템 정비 작업을 서두르는 계기가 됐다.

관련기사



실제 수행단 가운데 선임인 이남기 홍보수석은 윤창중 전 대변인이 중도 귀국했음에도 박 대통령에게 사건 발생 사실을 하루 늦게 보고했다. 이 같은 ‘늑장 보고’에 더해 국내에 잔류했던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과도 상황 공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또 자진귀국이냐, 귀국종용이냐를 놓고서는 이 수석과 윤 전 대변인이 볼썽사나운 진실공방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청와대 상사와 부하직원 간 위계질서는 깨지고 말았다.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고 나서 홍보수석실은 얼음판을 걷는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위태위태했다”면서 “이번 윤창중 사건을 계기로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원조 친박으로 차기 원내대표 후보 중 한 명인 최경환 의원도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을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의원은 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에 대해 “(인사) 검증 시스템을 더 제대로 하고 주변 평가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추천을 받는 등 인재풀을 보다 넓혀야 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일단 이 수석의 사의 표명을 계기로 홍보수석실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작업에 착수하는 것을 비롯해 내부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위기관리 시스템을 일신할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변인의 경질로 그동안 잡음이 많았던 남녀 공동대변인 체제, 홍보수석과 대변인의 상하관계, 대변인과 춘추관 간의 역할 재정립 등에 대한 교통정리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