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국내 전자·반도체부품 일본과 잇단 공급계약

국내 전자, 반도체 업체들이 첨단 부품산업의 종주국이라 할 수 있는 일본공략에 나서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조만간 일본 디지털 카메라 업체 2곳에 2차 전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진건 삼성SDI 상무는 “4ㆍ4분기에 일본 디지털 카메라 제조업체 2곳에 리튬이온전지를 납품하게 됐다”고 말했다. 2차 전지는 일본이 원조격인데다, 현재 세계 시장에서 산요와 소니 등 일본 업체들이 득세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산 제품이 일본 시장을 뚫은데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이 회사는 또 지난해 6월부터는 일본 유수의 디지털TV 업체들에게 PDP 모듈을 공급하고 있다. 1,000 칸델라의 휘도(밝기)와 3,000대 1의 명암비를 가진 최고급 42인치 PDP 모듈을 PDP의 본고장인 일본의 JVC에 공급한데 이어 도시바와 소니 등 주요 업체들에게도 잇따라 공급을 시작했다. 삼성전기는 일본 업체의 특허권 보유로 전량 일본에서 수입하던 백색(White) LED(발광다이오드)를 올 초 독자적으로 개발, 오히려 일본으로 수출하고 있다. 백색LED는 컬러휴대전화 LCD의 광원으로 사용되면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중인 유망 분야로 삼성전기는 독자 RGB(삼원색) 형광체를 이용해 색재현성을 더욱 향상시킨 UV(자외선) 백색LED를 개발, 하반기부터 일부 일본업체에 제품 공급을 시작했고 4ㆍ4분기에도 다른 일본 업체들로부터 공급 승인을 앞두고 있다. 삼성전자는 일본 소니와의 합작사인 S-LCD를 통해 올해부터 대형 TV용 LCD 패널을 소니측에 공급할 계획이다. 반도체 및 LCD장치 전문업체인 주성엔지니어링은 올 초 최첨단 300㎜ 웨이퍼용 원자층증착장치(ALD장치)를 일본에 수출했다. 이 장치는 300mm 웨이퍼 4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챔버 2개로 구성돼 있는 제품으로 고품질 박막 형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 장치의 양산성 한계가 대폭 개선된 만큼 일본 시장에서도 인정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달 초 부품소재 산업의 대일(對日)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전략사업단내에 부품소재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부품소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섰다. 수출 과실의 대부분이 일본으로 빠져나가는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고 미래 제조업의 성장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는 부품소재 산업의 대일 의존을 극복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올 들어 8월 말까지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197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지만, 대일 무역에서는 부품소재 산업의 높은 의존도로 인해 158억9,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