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 때리기' 바뀐 줄 알았는데… 재계 '당혹'

[수위 높아지는 MB 대기업 발언]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6일 '2011 중소기업인대회'에서 중소기업의 희생을 유발한다며 대기업 총수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가하자 재계가 무척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3일 경제5단체장과 만나 "정부는 기업을 잘되게 하는 게 목표"라며 '공정사회' 드라이브 이후 쌓인 재계의 불만을 다독이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보름도 안 돼 대기업 총수를 직접 겨냥한 동반성장 책임론을 강조, 재계가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19일로 예정된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단 회의에서 어떤 입장이 나올지 주목된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대통령 발언을 전해들은 대기업들은 비판의 칼날이 직접 대기업 총수를 겨냥했다며 당혹해 하고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중소기업을 희생시키는 장본인이 바로 대기업 총수라고 못박은 셈"이라며 "그동안의 동반성장 노력이 미흡하니 총수들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라는 신호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일부 대기업들은 강도 높은 지적에 대해 아예 말을 아꼈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도 "전경련이 내놓을 말이 없다"며 극히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이에 더해 대통령 언급에 이어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이 이날 이익공유제 추진을 거듭 강조하자 재계에서는 "그러면 그렇지"하는 냉소적인 반응도 나오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3일 대통령과 경제단체장 회동 이후 새롭게 조성될 것처럼 보였던 친기업 기류가 흔적 없이 사라져버렸다"며 "역시 정부에는 기대할 게 하나도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 위원장이 이번주 내로 이익공유제 플랜을 내놓을 뜻임을 밝힌 것과 관련해 대기업 관계자들은 "'대기업 때리기' 기조가 바뀐 것으로 알았는데 전혀 아니었다"며 "대통령이 동반성장위원회를 거론하며 대ㆍ중기 상생을 역설해 동반성장위원회에 힘이 실리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정부 내부에서 이익공유제 논란을 제대로 정리하기는커녕 일방적이고 강제적인 밀어붙이기가 도를 더할 것이라는 우려다. 사정이 이렇자 잠복했던 연기금의 주주권 행사 역시 조만간 본격 추진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제약업체 화이자, 담배회사 필립모리스, 금융기업 스탠다드차타드 등 3곳의 주주총회에서 전 최고경영자에 대한 보상안에 반대의견을 내는 등 의결권 행사에 적극 나서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