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국민 푸대접하는 '국민참여' 경선

“서울에서 이러면 너무하는 것 아닙니까?” 27일 부산을 끝으로 한나라당의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경선이 마무리됐다. 하지만 지난 25일 지방선거의 하이라이트 서울시장 경선 현장에서 만난 국민참여선거인단의 불만은 대단했다. 한 참여자는 “국민참여형 경선이라는데 막상 오라고 해서 왔더니 무시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한나라당은 이번 지방선거 경선을 당 최초로 국민참여형으로 꾸몄다.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을 전체 경선의 30%만큼 참여시키고 20%의 여론조사를 따로 반영하는 방식이다. 당 바깥의 국민의 뜻과 어긋나는 후보가 당내 조직력만으로 선출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자는 취지였다. 한나라당은 전화를 걸어 서울에서만 3,549명의 시민들을 선거인단으로 모셨고 이 가운데 1,020명이 현장에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 탄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경선 현장에 나온 시민선거인단에 대한 한나라당 지도부의 배려가 부족했다. 한나라당 소속 당원들과 달리 이들은 3시간 이상 줄을 서서 기다려야 경선 현장에 입장할 수 있었다. 또 전체 36개 투표구 중 30개가 당원 및 대의원들 전용이었고 일반 국민용 투표구는 6개에 불과했다. 당원용 투표구에는 1개당 200여명의 투표자가 배정된 반면 일반 국민용 투표구에는 1개당 600여명의 투표자가 배정됐다. ‘국민’들은 턱없이 부족한 투표구 앞에서 또다시 긴 줄을 서야 했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당원들은 당원증으로 신분이 쉽게 확인되는 반면 일반 국민은 신원 확인 과정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좀더 걸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5대3이라는 당원 대 국민의 비율로만 봐도 맞지 않게 준비된 투표구 숫자였다. 애초부터 저조한 참여율을 전제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 한나라당이 최초로 시도한 국민참여경선은 취지대로 일반 시민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은 후보를 선출해냈다. 하지만 투표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됐던 서울 현장에서마저 푸대접한다면 다음 선거에서 누가 선뜻 한나라당의 선거인단 참여 요청에 응할 것인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