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최저소득층 엥겔계수 7년來 최고

전체 가구 앵겔계수 15.0%(3년래 최고)

식품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최저 소득층의 소비지출에서 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7년래 최고치로 치솟았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ㆍ4분기에 소득하위 20%인 1분위 가구는 전체 소비지출(122만3,000원)에서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 지출에 27만9,000원을 사용해 22.8%의 앵겔계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4년 3ㆍ4분기(24.4%)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엥겔계수는 가계의 전체 소비지출에서 식료품과 비주류음료 등의 지출이 차지하는 비율로 통상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 최근 외식증가 추세까지 고려해 일반 식당과 배달 음식 등에 쓰인 비용인 ‘식사비’까지 포함하면 소득 1분위의 실질적인 엥겔 계수는 33.0%까지 상승한다. 전체 소비의 3분의 1을 식생활에 썼다는 얘기이다. 전체 가구의 엥겔계수도 3ㆍ4분기에 15.0%를 보여 국제유가 급등으로 물가가 크게 올랐던 지난 2008년 3ㆍ4분기(15.1%)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았다. 소득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엥겔계수는 12.2%로 1분위의 절반 수준이었다. 엥겔계수의 상승은 전체 소비지출에 비해 식품 지출이 더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3ㆍ4분기의 경우 소비지출이 전년 동기 보다 5.8% 늘었지만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7.0% 늘었다. 품목별로는 곡물 지출이 12.5% 늘어났고 고추와 소금 등 조미식품 지출은 65.1% 급등했다. 그러나 물가수준을 고려한 실질 기준으로 보면 3ㆍ4분기 소비지출은 2.1% 늘었지만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물가상승 때문에 식품 지출이 늘었지만 실제 먹는 양은 오히려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