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산업] 경영효율ㆍ지배구조 개선 '두 토끼'

LG그룹이 지주회사를 둘로 나누기로 한 것은 사업연관성이 큰 기업끼리 묶 어 경영효율성과 지배구조 개선을 동시에 이루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 이된다. 날로 치열해지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생존 및 발전을 모색하며 주주가치를 극대화하는 길로 ‘지주회사 분리’ 카드를 집어든 것이다. 이와 함께 LG의 공동창업 일가인 구씨와 허씨 양대 주주간 계열 분할도 자 연스럽게 예정된 궤도에 올릴 수 있게 됐다. ◇전문화가 살 길이다= 새로 설립될 지주회사인 ‘GS 홀딩스’에는 LG정유ㆍLG홈쇼핑ㆍLG유통 등이 편입된다. 3개 회사는 유통 및 서비스 위주다. LG정유는 전국에 2,900여개의 주유소와 병설 편의점인 조이마트(200여개), 경정비체인 오토오아시스(460여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LG유통은 3개의 백화점과 편의점인 ‘LG25’(1,700여개), LG슈퍼마켓(75개), LG마트(11개) 등을 거느리고 있다. LG홈쇼핑은 TV홈쇼핑 분야에서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이처럼 유통 및 서비스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 3개 계열사를 따로 떼어내 지주회사를 설립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배구조를 개선 할 수 있다는 게 LG측 계산이다. 잔존법인인 ㈜LG도 산하에 LG전자ㆍLG화학 등 제조업 중심의 자회사를 두게 돼 경영의 집중도가 높아지고 경영관리 등에서 전문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게 됐다. LG그룹의 한 관계자는 “해외 투자기관 및 전문 컨설팅업체들은 ‘지주회사도 업종별 또는 사업별로 전문화할 때 회사가치도 오르고 수익률도 향상 된다’고 권유하고 있다”면서 “이번 분할로 두 지주회사 모두 주가수익률이 시장 평균을 넘어설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씨ㆍ허씨 경영권 분할 마무리= 지주회사가 둘로 나눠지면 주인도 자연 둘이 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연장선에서 재계는 3대에 걸쳐 독특한 공동경영 문화를 꾸려왔던 LG의 창업가문인 구씨와 허씨 일가가 각각의 지주회사 경영권을 나눠 갖는 최종 분리 수순에 돌입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미 허씨 가문의 쌍두마차인 허창수 회장과 허동수 회장이 각각 LG건설과 LG정유의 경영을 주도하고 있으며 LG유통은 허승조 사장이 경영을 맡고 있 다. 이에 따라 신설 지주회사의 지분 및 경영권은 조만간 허씨 일가에 집중될 전망이다. 반면 전자ㆍ화학 등 LG의 주력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LG의 지분은 구본무 회장 쪽으로 급속히 쏠리며 구 회장 단일체제가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해 10월에는 구 회장과 사촌지간인 구자홍 회장이 LG전선그룹을 출범시키는 등 구씨 내부에서도 형제간 경영권 분할이 진행되고 있 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1~2년 안에 구씨와 허씨가 지분 및 경영권 등에서 완전한 분리를 이룰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GS홀딩스는 분할 후 LG 상 표를 사용하지 않고 골드스타(GOLDSTAR) 브랜드를 가져가기로 해 이 브랜드를 부활시킬지 주목되고 있다. 손철기자 runiron@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