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옷 소비자가, 제조원가의 4.2배

할인판매 의존관행과 높은 유통마진 등의 영향으로 옷의 소비자 가격이 제조원가의 4.2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섬유.패션 전문 컨설팅업체 엠피아이코리아(MPI)가 국내 100여개 의류 브랜드를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제품의 제조원가는 소비자 가격의 24%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역산하면 소비자 가격이 제조원가의 4.2배에 달하는 것이다. 이는 업체들이 일단 소비자 가격을 높게 책정한 후 판매부진을 세일로 해결하는관행 때문인 것으로 MPI는 분석했다. 실제로 출시 시즌내 평균 판매가는 소비자 가격의 76%(제조원가의 3.2배)로 업체들은 평균적으로 소비자 가격보다 24%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할인 관행은 신사복이 가장 심해 남성복의 평균 할인율은 34%에 달했으며이월상품의 처리까지 감안하면 할인율이 더욱 높아진다고 MPI는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도 "신사복의 경우 전체 물량의 4% 정도만이 정상 가격에 판매되고나머지는 세일기간이나 이월상품 처리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나치게 높은 유통 비용도 소비자 가격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MPI는 "백화점 등 유통업체가 의류업체로부터 가져가는 유통마진은 소비자 가격의 21%로 집계됐다"며 "이를 감안하면 의류 업체들이 실제로 받는 가격은 제조원가의 2.1배"라고 설명했다. MPI 최현호부장은 "판매 부진을 세일로 만회하려는 관행이 옷 가격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을 높이고 있다"며 "소비자 가격을 적정하게 매겨 세일 의존도를 낮추는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