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치창조경영'

'가치창조경영'1994년부터 1998년 말까지 5년간 미국의 컴퓨터 제조회사인 델 컴퓨터는 주주가치 창조의 시각에서 보면 그 가치를 10배나 높였다. 델 컴퓨터가 이처럼 경이적인 가치를 창조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이 1994년부터 98년까지 전세계 5,316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가치창조 경영전략에 대해 조사, 연구한 결과를 엮은 「가치창조 경영」에 바로 그 해답이 나온다. 이 책은 가치창조 경영의 핵심내용인 가치창조 경영의 기본구조, 분석도구 및 응용사례 등을 다루고 있다. 가치창조 경영의 최종 목적은 내부 경영 프로세스, 기업전략, 직원들의 행동 등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력 역량들이 모두 기업가치 창조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BCG가 5년간의 조사연구에서 기업의 가치창조 활동을 평가하는 데 사용한 기준은 연평균 총주주수익률(TSR:TOTAL SHAREHOLDER RETURN)이다. TSR은 주식의 배당수익에 자본이득을 합하여 산출하는 개념으로 기업의 경제적 겅과와 실질적인 주주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평가지표이다. 실제 TSR은 투자업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지표이며 미국기업들은 TSR을 매년 미국증권거래위원회에 의무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믹구이나 유럽의 기업경영자들은 의사결정을 내릴 때, 계획의 타당성을 평가할 때도 이 지표를 사용하고 있다. 주주가치를 높이는 데 실패한 경영자는 주주나 이사회로부터 강한 압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도 점차 오너 경영인보다는 전문경영인이 기업을 운영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으므로 TSR은 경영자의 성과를 평가하고 성과급을 결정하는 근거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책은 창출된 가치를 측정하는 내부 평가법의 적용과 이를 통해 주주가치를 관리하는 접근방식, 가치창조를 위한 주요 경영활동 및 사례분석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와함께 가치창조 경영의 성공요인과 델 컴퓨터, 노키아, 아에곤 등 세계적으로 가치창조 경영실현에 성공한 기업들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해 기업의 경제성 있는 활동이 총주주수익률(TSR)에 그대로 반영된다는 사실을 입증하면서 투자자의 시각으로 경영해야함을 강조한다. 이 책은 또 서두에 BCG가 작성한 「한국기업의 가치창조에 경영을 위한 제안」이 실려있는데, 그 내용이 관심을 모을만 하다. BCG는 이 제안에서 『한국기업들은 구조조정을 통해 초우량 복합그룹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본 생산성의 증대, 고정자본에 대한 투자축소, 기존 고정자본의 생산성 제고 등 성장보다는 수익성 향상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충고한다. 더난출판사 펴냄. 문의 (02)2236-2341. 이용웅기자YYONG@SED.CO.KR 입력시간 2000/07/05 20:26 ◀ 이전화면

관련기사



이용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