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3ㆍ4분기 신탁영업 '희비'

은행 3ㆍ4분기 신탁영업 '희비' 한빛·외환銀 적자-국민·하나銀 신탁보수 증가로 흑자 3ㆍ4분기 결산결과 은행별 신탁부문 손익이 큰 격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빛, 외환은행 등이 적자를 낸 반면 국민, 하나은행 등은 400억~500억원대의 이익을 낸 것으로 집계돼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개발신탁의 손실 규모가 크거나 충당금적립액이 많았던 일부 은행 신탁계정은 적자결산을 한 반면 나머지 은행들은 실적배당상품의 신탁보수 증가와 지난 상반기 적립했던 충당금이 환입되면서 흑자를 냈다고 분석했다. 특히 상반기에 이어 3ㆍ4분기 결산에서도 신탁부문에서 적자를 낸 일부 은행은 개발신탁의 유동성부족에 따른 고유계정으로부터의 자금 차입과 아울러 수익 측면에서도 마이너스를 기록함으로써 은행 수지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중은행의 한 신탁담당자는 “개발신탁이 펀드에 편입된 자산을 팔아 유동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원금과 약정이자를 모두 물어야 하는데다 은행계정으로부터 빌려온 자금에 대해서도 이자를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신탁 전반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서는 개발신탁의 클린화 작업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2,043억원의 실적배당상품 신탁보수에 힘입어 1,268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하고도 527억원의 흑자를 냈으며 주택은행은 626억원의 충당금적립액이 환입되면서 555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밖에 하나은행은 개발신탁에서 800억원대의 손실을 입었지만 실적배당상품의 신탁보수가 크게 늘어 신탁부문에서 470억원의 흑자를 냈다. 반면 한빛은행은 개발신탁에서 1,662억원의 손실이 발생, 신탁부문 적자규모가 1,200억원대를 넘겼고 외환은행 역시 개발신탁 손실과 충당금적립 부담에 따라 576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입력시간 2000/10/27 17:20 ◀ 이전화면

관련기사



박태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