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탄강댐 건설 전면 백지화

지속발전委, 천변저류지·홍수조절댐등 대안 제시

지난 99년부터 찬반 논란을 거듭해온 한탄강댐 건설계획이 백지화되고 천변저류지와 소규모 홍수조절용 댐을 건설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대통령 자문 지속발전가능위원회의 한탄강댐 갈등조정소위원회(조정소위)는 한탄강댐 건설계획과 관련해 천변저류지 2개소와 순수 홍수조절용 댐을 건설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결정했다고 2일 밝혔다. 천변저류지는 홍수대책의 하나로 일본이나 유럽에서 댐 대신 운영하고 있는 방식으로 조정소위는 임진강 유역 장단지구와 석장2지구 등 2곳에 이를 건설해 시범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조정소위는 또 대형 홍수에 대비해 용수공급 기능이 배제된 순수 홍수조절용 댐을 기존의 한탄강댐보다 작은 규모로 건설할 계획이다. 조정소위는 “아직 우리나라에서 천변저류지를 운영한 경험이 없는 만큼 대형 홍수 때 피해가 커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해 순수 홍수조절용 댐 건설을 추진하는 게 좋겠다”며 “기존의 한탄강댐 건설계획은 백지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탄강댐 건설과 관련해 찬ㆍ반 지역 주민대표, 정부, 환경단체 등은 지난 8월27일 조정소위에 최종 결정권을 위임하는 동시에 관련 당사자 대표단은 이견이 있어도 반대행동을 하지 않는다고 합의했다. 그러나 이번 결정으로 합의가 지켜지고 5년 동안의 찬반 논란을 마무리지을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12월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로 한탄강댐 논란에 참여정부의 새로운 갈등해결 방식을 처음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