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농협 지주회사 체제 출범] 은행·보험·증권 등 7개 자회사 보유… 업계 빅5로 부상

1,172개 점포망 발판 "10년내 덩치 두배" 야심<br>수익성·전문성 부문… 경쟁력 키우기가 관건… 현물출자 논란은 과제로





농협금융지주가 2일 본격 출범한다.

농협중앙회의 신용사업과 경제사업 분리(신경분리)로 탄생하게 될 새로운 '금융공룡'은 일찌감치 금융권의 관심을 한몸에 받아왔다. 농협금융은 은행과 생명보험ㆍ손해보험을 새로 설립하고 기존 증권과 선물ㆍ자산운용ㆍ캐피털 등 7개 자회사를 금융지주사에 편입시켜 종합금융 서비스 체제를 구축하게 된다.


농협금융의 출범은 당장 금융권에 지각변동을 몰고 올 예정이다. KB·신한·우리·하나 등 4대 금융지주의 경쟁구도가 5강 체제로 재편된다.

포부도 남다르다. 농협금융의 목표는 프랑스 크레디아그리콜이나 네덜란드의 라보뱅크처럼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는 협동조합금융그룹이다. 오는 2020년까지 총자산 420조원에 당기순이익 3조7,000억원을 거둬들이는 글로벌 수준의 협동조합금융그룹으로 거듭나겠다는 중장기 목표도 세웠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여타 금융지주에 비해 수익성과 전문성에서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급선무인데다 당장 정부의 현물출자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농협금융 출범에 금융권 긴장=농협금융은 "은행ㆍ보험 중심의 소매영업 강자로 차별화해 2020년 세계적인 협동조합금융그룹으로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2013년까지 다른 금융지주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해 국내 선도은행으로 도약하고 2020년에는 자산 420조원, 연간 순익 3조7,000억원을 자랑하는 거대 그룹으로 거듭나겠다는 야심 찬 선언이다. 지난 2011년 9월 현재 자산이 237조원임을 감안하면 앞으로 10년 내 덩치를 2배 가까이 키우겠다는 원대한 포부인 셈이다.

농협금융의 이 같은 공격적인 경영선언에는 믿는 구석이 있다. 바로 전국 곳곳에 뻗어 있는 점포망이다. 농협은행의 전국 지점은 1,172곳에 이른다. 이는 시중은행 가운데 지점이 가장 많은 국민은행(1,162개)을 웃도는 규모다. 외환은행을 인수해 지점 수가 대폭 늘어난 하나금융도 농협보다 100여곳가량 적다. 또한 신한은행(974곳), 우리은행(949곳)보다는 점포 수에서 훨씬 앞선다.

지역 단위농협이 운영하는 점포까지 더하면 다른 은행과 소매영업에서는 경쟁이 되지 않는다. 더구나 농협은행은 출범과 더불어 수도권 내 450개 영업점을 분산, 재배치해 고객 창구를 넓히고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다른 은행도 수도권 영업에 전력하고 있어 앞으로 고객을 뺏고 뺏기는 '생존 게임'이 치열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보험업계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농협 생명보험은 출범과 동시에 업계 4위 자리를 확보하는데다 그동안 영업에 족쇄로 작용했던 상품출시 제한에서 풀려나기 때문이다.

◇경쟁력은 아직 '미흡'=농협금융지주는 5대 금융지주에 걸맞은 자산규모와 업계 최고 수준의 지점망을 확보하고 있지만 "덩치에 비해 생산성과 수익성이 낮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지난해 3ㆍ4분기 기준 농협은행의 직원 1인당 충당금 적립 전 이익규모는 1억1,900만원으로 2010년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생산성을 크게 개선한 국민은행 2억2,000만원의 절반에 불과하다.

예수금과 대출금 규모에도 현격한 차이가 있다. 농협은행의 직원 1인당 예수금과 대출금은 각각 103억원과 95억원으로 국민은행의 125억원과 115억원을 크게 밑돈다.

한 금융계 관계자는 "농협은 정부의 보호에서 벗어나 경쟁에서 살아남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한다"며 "전국에 거미줄처럼 퍼진 영업망을 활용해 농협만의 장점을 발굴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첩첩이 쌓인 과제 해결이 관건=정부가 농협의 신경분리를 위해 현물출자할 1조원 규모 주식의 종류와 저배당률을 둘러싼 논쟁 등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현재 정책금융공사가 보유한 한국도로공사가 가장 유력한 출자 종목으로 거론되지만 농협은 "도로공사 주식을 받게 된다면 배당률이 1%도 안 된다"며 "오히려 농협이 손해를 보게 된다"고 난색을 표하고 있다.

또 농협이 도로공사 주식을 받을 경우 정책금융공사에 대한 배당률을 1% 이하로 적용하기로 한 데 대해 정책금융공사는 지나친 저율배당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업무의 두뇌로 불리는 전산 시스템이 툭하면 고장을 일으키는 점도 새롭게 출발하는 농협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농협은 지난해 4월 금융계 최악의 전산사고를 겪었지만 같은 해 5월과 12월, 올해 1월, 그리고 2월23일까지 전산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농협은 사업구조 개편 당일인 2일 0시부터 5시까지 금융 서비스를 중단하고 전산 시스템을 점검하기로 했다. 하지만 혹시나 하는 불안감은 여전하다. 금융감독원 역시 최근 농협금융지주에 대한 대대적인 종합검사를 예고했고 경영투명성 여부와 함께 전산 시스템 준비상황을 철저하게 따지기로 했다.

농협의 한 관계자는 "우수한 인력을 많이 확보하고 정보기술(IT) 인프라를 구축해 전산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며 "경쟁력이 약화하거나 자생력이 없는 조합에 대한 지원이나 통폐합을 통해 농민에게 봉사하는 조직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유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