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양회 앞둔 中 "재스민 혁명 확산 막자"

시위 진압·인터넷 검열 더불어<br>물가안정등 민생 행보도 적극

다음달 3일 연중 최대정치행사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를 앞둔 중국 수뇌부가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뒤덮은 '재스민 향기'의 전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 공안당국의 집중적 인터넷 검열과 삼엄한 거리 통제 속에서도 지난 20일 대낮 베이징과 상하이 번화가에서 민주화 시위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중국 수뇌부는 큰 충격을 받았다. 21일 베이징과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는 공안들이 삼엄한 경비를 서고 있으며 1989년 중국 민주화 시위 중심지인 텐안먼(天安門)일대에는 검문 검색도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지도부가 이번 양회에서 무엇보다 빈부 격차 해소와 저소득층 지원을 비롯한 중국식 복지 정책의 강도와 공산당 민주화 등 정치 개혁의 폭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등극했지만 갈수록 심화하는 빈부격차와 인구의 30%에 이르는 절대 빈곤층, 하루가 달리 급등하는 물가 등으로 인한 민심 이반이 중동발 재스민 향기와 결합할 경우 그 폭발력은 가늠하기 어렵다. 중국 수뇌부는 강온양면 전략을 국면 타계에 나서고 있다. 일단 시위를 초동 진압하고 시위를 유발할 쇼셜네트워킹시스템(SNS)의 차단과 더불어 민심 이반의 근원적 배경인 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중국식 정치개혁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중국 공안당국이 20일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도심에서의 시위시도에 엄청난 규모의 정ㆍ사복 공안 병력을 동원해 시위를 사전에 차단했다. 또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19일 돌연 인터넷 감독, 관리를 강조하고 나선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중국은 철저한 인터넷 검열로 '재스민'이라는 단어가 검색되지 않고 있다. 중국관영언론들은 중동ㆍ북아프리카 사태를 거의 보도하질 않고 있다. 중국 지도부는 이미 춘제 기간부터 민생 행보를 보여 왔다. 후 주석과 원자바오(溫家寶) 총리 등이 농촌과 산간벽지, 도시빈민 주거지를 잇따라 방문했다. 또 동북부 극심한 가뭄으로 인공강우을 뿌리는 등 농심(農心)잡기에도 안간힘을 쏟고 있다. 중국 지도부가 가장 신경을 쏟는 곳은 물가 안정. 부동산 값을 잡기 위해 주택 재산세 도입이라는 극약처방도 서슴지 않았다. 일부 식료품에 대해서는 가격 상한제를 도입했다. 양회는 지난해 10월 열린 중국 공산당 17차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17기 5중전회) 결과를 추인하는 요식적 정치 행사이기 때문에 예정에 없던 새 정책이 나오지는 않겠지만 중국 지도부가 경제적 불균형 해소 방안을 좀 더 구체화하지 않겠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