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물가 못잡으면 경기 경착륙"… 고강도 카드 선택

[中 기준금리 0.25%P 또 인상]

물가억제선 3% 오래전 붕괴… 식료품값 몇달새 2배 뛰어 서민들 "못 살겠다" 아우성
기존 유동성 조절로는 한계… 물가반영 시차 감안하면 2분기까지 물가압박 예상
'자고 나면 오른다.' 올 하반기 내내 급등하고 있는 물가를 두고 중국 서민들이 한숨을 쉬며 내뱉는 말이다. 중국 남부 쓰촨성 출신으로 베이징에서 10년 넘게 가사도우미를 하고 있는 린(林)모씨는 "생강 등 대부분 식료품 가격이 몇 달 새 2배 안팎으로 올랐다"며 "앞으로 임금인상이 없으면 먹고 사는 것 자체가 지탱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지난 7월 3.3%를 기록하며 중국 당국의 목표치(3%)를 넘어서기 시작한 물가상승률은 이후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해 10월 4.4%, 11월에는 5.1%를 나타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도 물가가 잡히기는커녕 오를 일만 남았다는 것이다. 이상기후에 따른 수급불안이 완화하며 가격안정이 예상됐던 식료품 가격이 계속 치솟고 있는데다 원유 등 국제원자재 가격까지 상승하며 해외발 인플레이션 요인도 커지고 있다. 소비자물가(CPI)상승률이 억제목표선 3%의 2배인 6%를 넘어서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관측이 전문가 사이에 확산되고 있다. 중국 당국이 25일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기준금리 카드를 꺼내든 것은 점점 더 통제 범위를 벗어나고 있는 물가 부문을 그대로 뒀다가는 지속 성장이 힘든 것은 물론 과열 경기가 경착륙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사실 크리스마스 금리인상 직전까지만 해도 중국 당국이 공개시장조작, 은행 지급준비율 인상 등을 통해 시중유동성 흡수에 나선 후 내년에 가야 기준금리 인상 등 긴축의 고삐를 죌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실제 저우샤오촨 인민은행장도 핫머니 등 해외발 통화팽창 요인을 적절히 통제한다면 지급준비율 인상과 기준금리 인상은 동시에 이뤄질 필요는 없다며 기준금리 인상은 급하지 않다는 시그널을 시장에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지급준비율 인상은 당초 목적이었던 물가억제에는 별 효과를 보지 못하고 시중은행 간 급격한 자금부족 현상을 초래하며 은행 간 금리가 치솟는 등 자금시장 교란이라는 역작용을 일으켰다. 이에 따라 중국은 결국 물가를 잡기 위해 정책금리 인상이라는 마지막 카드를 빼 들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모건스탠리 홍콩법인의 왕칭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금리인상은 중국이 확실하게 물가를 잡겠다는 시그널"이라며 "내년 상반기에 세 차례의 추가 금리인상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금리인상을 놓고 결국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다. 단지 조금 일찍 왔다는 것이 당초 예상과 다른 점이다. 중국 정부는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4조위안의 경기부양책 등 막대한 돈을 풀어가며 'V자'형 경기반등에 성공했지만 결국 인플레이션이라는 후유증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는 게 지배적인 분석이다. 지난 2년간 풀린 총통화(M2) 증가율이 55%에 육박하고 지난해 은행대출이 전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9조5,000억위안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숨겨진 대출까지 포함하면 10조위안 안팎에 달할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중국 당국은 10월에 3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서며 긴축기조로 돌아섰지만 긴축기조가 물가 수준에 반영되는 시차가 통상 7~9개월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적어도 내년 2ㆍ4분기까지 물가상승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펑센 부주임은 21일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사상 최대로 풀렸던 재정자금 등 과도한 유동성에다 국제원자재 가격까지 뛰면서 인플레이션의 근본적인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