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무협, “무역 지속 성장 위해서는 소프트파워 강화해야”

세계 무역 8강에 진입한 한국이 지속 가능한 성장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프트파워’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무역은 양적인 성장에도 불구, 제품 이미지와 혁신성 등 소프트파워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하드파워, 소프트파워의 개념을 무역부문에 접목해 무역규모 및 순위, 매출액 기준 세계 500대 기업, 수출 1위 품목 등 양적인 지표를 하드파워로 분류하고, 수출제품 이미지와 수출기업 브랜드 가치, 효율성 및 혁신 등의 지표를 소프트파워로 분류, 비교했다.

관련기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무역의 하드파워는 상품수출(7위), 무역규모(8위), 수출 1위 품목 수(16위) 등으로 세계경제포럼(WEF) 지난 해 발표한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 19위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의 요소가 결합된 하드파워 앤(&) 소프트파워 부문도 무역환경 3위, 사업환경 9위 등으로 세계 상위권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소프트파워인 기업혁신과 상품시장 효율성은 각각 16위, 29위 등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보고서는 소프트파워 제고를 위한 첫 번째 과제로 ‘프로세스 브랜드’의 개발 및 확산을 제시했다. 프로세스 브랜드는 생산시스템이나 공정을 혁신해 브랜드화하는 것이다.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으로 불리는 미국의 ‘포드시스템’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 사례로는 조선부문의 플로팅도크 공법이나 블록 생산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무협 관계자는 “한국은 수출품목 구조는 브랜드화가 힘든 중화학공업, 자본재 위주의 구조로 돼 있다”며 “개별 제품ㆍ기업 차원의 브랜드보다는 생산과정에서의 혁신을 기반으로 한 프로세스 브랜드를 개발, 확산시킴으로써 산업 전반의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