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내년 中企 정책자금 조기 집행"

■ 지경부, 실물경제 동향 점검 회의<br>연말·내년초 대출금 상환으로 자금압박 심화 전망<br>조선·철강 수출둔화 가능성

최중경(오른쪽) 지식경제부 장관이 29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르네상스호텔에서 열린 실물경제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호재기자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정부가 비상경제체제로 전환한 가운데 실물경제에 대한 긴급 점검도 단행됐다. 지식경제부는 29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9대 주력업종별 협회와 KOTRAㆍ무역보험공사ㆍ중소기업진흥공단ㆍ산업연구원 및 중소기업 대표들과 '실물경제 동향점검 간담회'을 열었다. 간담회에서는 우리나라 수출을 이끌고 있는 주력 품목의 업황과 전망, 대응책 마련이 논의됐다. 최중경 지경부 장관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한 긴장감은 갖더라도 지나친 불안심리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며 "선제적으로 경기둔화 가능성에 대비하고 기회요인이 생기면 즉각 활용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들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대출받은 자금을 상환해야 하는 올해 말과 내년 초에 자금압박이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중소기업진흥공단에 따르면 중소기업에 공급된 신규 정책자금은 2008년 3조2,000억원에서 2009년에는 5조8,000억원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2009년에 공급된 정책자금 가운데 상환예정인 금액은 올해 1조5,000억원, 내년에는 1조9,000억원에 달한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의 한 관계자는 "중소기업들의 자금유동성 악화가 우려돼 다음달부터 내년도 정책자금 조기집행 기반을 구축하고 업종별 지역별 모니터링과 긴급상황 대처 계획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까지 호조세를 보였던 수출 주력품목들 가운데 조선과 철강ㆍ섬유ㆍ석유화학 업종들이 앞으로 둔화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조선의 경우 선사의 경영악화와 선박금융 위축 등으로 발주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정보기술(IT) 관련업종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송병준 산업연구원장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는 선진국에 대한 직접 수출 비중이 높지 않지만 중국 등 우회수출 비중이 높아 선진국 경기 위축에 따른 여파가 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세계경제 성장률이 1% 감소할 때 우리나라 수출은 3%가량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