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재생에너지·신소재-나노융합·헬스케어

경제전문가들은 정부가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한 3대 분야 17개 산업 중 신재생에너지와 신소재ㆍ나노융합, 글로벌 헬스케어 부문이 가장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23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민간·국책 연구소, 증권사 등의 경제전문가 25명은 ‘녹색기술산업’ 에서 신재생에너지(56.0%), ‘첨단융합산업’ 에서 신소재ㆍ나노융합(40.0%)과 IT융합시스템(36.0%), ‘고부가 서비스산업’ 에서 글로벌 헬스케어(54.2%)와 콘텐츠ㆍ소프트웨어(33.3%)의 미래가 밝다고 답했다. 또 17개 신성장동력 중 고용창출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은 콘텐츠ㆍ소프트웨어(20.0%), 첨단 그린도시(16.0%), IT융합시스템(16.0%), 글로벌 헬스케어(16.0%) 순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헬스케어의 경우 일반 뿐만 아니라 여성층의 고용창출효과도 클 것(28.0%)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녹색금융(20.8%), 바이오 제약ㆍ의료기기(16.7%) 등은 취업준비생의 수준이 산업현장의 기대에 가장 미치지 못하는 산업으로 꼽혀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이 시급한 과제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함께 경제전문가 절반(50.0%)은 신성장동력으로 선정된 산업들을 계획대로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산업의 수를 축소해 집중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41.7%로 나타나 차세대 신성장동력 육성 전략과 관련, ‘정책일관성’과 ‘선택과 집중’으로 견해가 갈렸다.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해 가장 우선돼야 할 것으로 관련 규제완화(36.0%)가 꼽혔고, 다음으로 인력양성(20.0%), 정부 주도의 원천기술 개발ㆍ보급(16.0%)과 관련 산업의 수요 진작(16.0%)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