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2~2016년 대중교통계획안'을 수립하고 시민의견 수렴 절차를 밟고 있다고 밝혔다.
계획안에 따르면 시는 2016년까지 경기도~서울 구간 광역버스에만 있는 좌석형 간선 급행버스를 시내버스에도 도입한다. 시의 한 관계자는 "2016년까지 도입을 목표로 추진 중이지만 일이 빠르게 진행될 경우 내년부터 서울시내에도 좌석형 간선 급행버스가 운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좌석형 간선 시내버스의 요금이 일반 시내버스보다 비싸지만 중앙버스전용차로와 도시고속도로로 운행해 '속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시는 특정 지역에서 자가용 승용차 통행을 제한하는 대신 보행자와 버스만 다닐 수 있는 대중교통전용지구 종합계획도 연내에 수립할 예정이다.
현재 시범지구로 거론되는 곳은 연세대 정문에서 신촌로터리로 이어지는 470m 구간이다. 시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시범사업을 벌인 후 문제점 보완,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이달 중 시민, 대중교통시설 관리청, 인접 시도 등을 상대로 초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시 교통위원회에서 심의할 예정이다. 이후 다음달에 국토해양부와 협의를 거쳐 계획안을 확정, 고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