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신경민 “삼성관리대상 의혹”…김진태 “떡값 안받아”

13일 민주당 신경민 의원은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가 과거 검사 시절 삼성의 관리대상이었다는 의혹을 제기했으나, 김 후보자는 “단돈 10원도 받은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신 의원은 이날 국회 법사위의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황교안 법무부 장관, 홍경식 청와대 민정수석, 조준웅 전 삼성비자금의혹관련 특별검사 등이 이른바 과거 삼성 ‘떡값 리스트’의 대상이라고 주장하면서 “김 후보자의 경우도 (그렇게) 돼 있다”며 ‘떡값 수수’ 의혹을 제기했다.


신 의원은 이어 “(특검의) 수사자료에 들어있는 내용”이라면서 파워포인트를 통해 ‘삼성관리 의혹 검사(2000~2002년)’라는 제목의 문건을 공개한 뒤 “대단히 신빙성이 높은 문건”이라면서도 구체적 출처를 밝히지는 않았다.

문건에는 황 장관과 홍 수석, 김 후보자, 검찰 출신 새누리당 현역의원 2명, 조준웅 전 삼성특검 등의 명단과 함께 해당 인사들의 당시 직책이 적혀 있다.

김 후보자의 경우 ‘대검 범죄정보제1담당관’(2001년 6월 기준), 대검 중수부 수사2과장(2002년 2월기준) 등 2차례, 황 장관은 대검 공안1과장(2000년 8월 기준), 대검 공안2부장(2002년 2월 기준) 등 2차례씩 표기가 돼 있었다.


문건에는 “2000∼2002년 사이 3년간 검찰 관리 대상자로 명단에 들어가 있었으므로 1년 3회(설날, 여름휴가, 추석) 이상 각 500만원 이상의 금품을 정기적으로 수수함”, “로비금액 최대 1,000만원, 2,000만원” 등의 문구도 적혀 있었다.

관련기사



신 의원은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은 당시 이미 국회의원으로 자리를 옮긴 상태라 리스트에 빠진 것 같지만, 현재 검찰의 지휘라인이 다 포함돼 있다”며 “김 후보자가 만약 총장으로 임명된다면 삼성이 거의 검찰을 장악하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 전 특검이 명단에 포함된 데 대해 “조 특검이 본인이 들어가 있는 리스트를 열심히 수사했을리 없다”고 부실수사 의혹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제가 삼성이나 다른 사람한테 관리대상이라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 특검으로부터도 어떤 연락도 받은 바 없다”면서 “삼성으로부터 떡값은 물론 단돈 10원도 그냥 받은 적이 없다. 이런 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정말 의아하다”고 부인했다.

김 후보자는 ‘삼성 떡값 리스트’에 대한 재수사를 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어떤 것이든 수사 단서와 범죄행위, 수사의 가치가 있으면 하겠다”며 원론적으로 답변했다.

한편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김 후보자의) 아들이 삼성 마케팅부문에 다니는데, 2011년 응시했다 떨어지고 2012년 인턴에 도전했다 떨어진 뒤 4개월 뒤 정규(모집때) 합격을 했다. 석연치 않다”며 아들의 삼성 특혜입사 의혹을 제기했다.

김 후보자는 “그렇지 않다”고 부인한 뒤 “제 아들은 경영학부 출신으로, 1학년 때부터 열심히 공부했고, 첫 응시 당시 필기에는 합격했으나 면접에서 떨어졌고 인턴에서도 떨어져 다시 공부해 합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