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살인진드기 감염 사망자 있었다

작년 텃밭서 일하다 물린 60대 환자 첫 확인

국내에서 일명 '살인 진드기'로 불리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한 환자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는 과거 국내 감염 의심사례 5건을 역추적해 조사한 결과 SFTS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한 환자를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강원도에 거주하는 63세의 이 환자는 지난해 8월3일 벌레에 물린 부위가 부어 오르면서 발열과 설사 증세를 보여 지역 병원에 입원했으나 증세가 지속 악화돼 입원 5일 만에 서울대병원으로 옮겨졌고 같은 달 12일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했다.

환자 신체 검진에서 목 뒤에서 벌레에 물린 자국이 발견됐고 얼굴 발진, 결막 충혈, 임파선의 심한 염증 등이 나타났다. 환자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 보름 동안 텃밭에서 3~4차례 작업을 했고 이때 벌레에 물렸다.

당시 서울대병원의 조사에서 원인으로 의심되는 쓰쓰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말라리아검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나와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 중국과 일본에서 SFTS 감염과 사망사례가 잇따라 발생한 후 진행된 조사에서 서울대병원은 보관 중이던 이 환자의 검체를 분석, SFTS 바이러스를 분리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검체 검사 결과를 검토해 첫 확진 사례로 판정했다. 역추적조사에서 감염이 의심된 나머지 4명은 SFTS가 아닌 것으로 최종 판명됐다.


또한 아직 확진 판정은 받지 않았으나 최근 제주에서 사망한 의심환자에게서도 SFTS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는 등 확진 가능성이 높아 사망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진다.

관련기사



보건 당국은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돼 있지 않은 만큼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라고 강조한다.

숲과 풀밭 등에서의 야외 활동시 긴 팔ㆍ바지를 입고 양말 등을 신어 피부노출을 최대한 피하고 기피제를 뿌려 진드기를 쫓는 것이 좋다. 풀밭 위에 옷을 벗은 채 눕거나 용변을 보지 않고 풀밭에서 사용한 돗자리도 세척해 햇볕에 말리는 것이 좋다.

야외 활동 후에는 반드시 목욕을 통해 진드기를 없애고 야외에서 입었던 옷과 양말 등은 꼭 세탁해야 한다.

다만 전문가들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의 비율이 전체의 0.5%에 불과하고 SFTS의 치사율이 과장된 측면이 있는 만큼 차분한 대응을 강조했다.

오명돈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초반에는 SFTS 치사율이 30%에 달하는 것으로 발표됐지만 중국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발병자 2,047명중 129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6%로 나타났다"며 "SFTS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진드기라도 옮기는 바이러스 양이 적다면 물려도 이 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