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선 본격 레이스" ··· 오늘부터 예비후보 등록

각당 주자들 공식캠프 꾸리고 선거운동 가능<br>이명박 이달말·박근혜 내달초 등록, 기선제압 나설듯<br>범여권은 뚜렷한 주자 못세운채 분열만 거듭 '혼돈'

17대 대통령 선거운동이 23일 대선예비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공식적으로 시작된다. 12월 대통령선거에 나서는 예비 후보 등록이 이날부터 개시됨으로써 각 주자들은 선거운동 사무소를 설치하고 10인 이내의 선거사무원을 두는 등 공식 선거 캠프를 꾸릴 수 있게 된다. 또 이 메일을 통한 선거운동과 2만매 이하의 홍보물 제작, 홍보명함 배포 등이 가능해져 본격적인 여론 껴안기 활동을 본격화할 수 있다. 대선주자들이 이미 가시화된 한나라당은 예비후보 등록을 계기로 각 주자마다‘선거사무소 개소- 출마선언- 예비후보 등록 ’등 본격적인 대선레이스에 돌입한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기선제압에 나서려는 듯 박근혜 전 대표측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 전 시장측은 견지동 `안국포럼' 사무실의 여의도 이전이 완료되는 27~28일 직후 사무실 개소식과 함께 후보등록, 출마선언을 한묶음으로 해서 시너지 효과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박 전 대표는 당내 경선후보 등록일과 맞춰 5월초에 예비후보로 등록하는 쪽으로 생각을 굳히고 있다. 또 후보 등록 이후 ‘출마 선언’ 역시 대규모 행사보다는 이벤트의 느낌을 최대한 줄이고 대선후보로서 국정운영 비전과 대국민 메시지 전달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또 양측 캠프의 선대위원장으로 이 전 시장의 경우 5선의 박희태 의원이, 박 전 대표측의 경우 안병훈 캠프본부장과 서청원 전 대표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경선 테이프만 끊으면 언제든지 응전할 수 있다는 태세다. 하지만 이들 역시 ‘경선룰’을 놓고 아직까지 옥신각신하는 상황이어서 최종 향방을 가늠할 수 없다. 경선룰 중에서도 특히 여론조사 반영방식을 놓고 박 전 대표측은 ‘유효투표수의 20%’를, 이 전 시장측은 ‘선거인단의 20%인 4만명’을 고집하고 있어 절충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최근 양자에 대한 여론 지지율의 변화도 변수가 되고 있다. 반면 범여권은 아직 이렇다 할 만한 흥행 대선주자를 내세우지 못하기 때문에 여전히 혼돈속에 빠져있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통합신당모임, 민생정치모임이 각각 국민중심당이나 사회시민단체와의 통합신당을 만들어 대선주자를 옹립하겠다는 구상이지만 통합보다는 분열만을 거듭하는 양상이다. 이렇다 보니 정운찬 전 서울대학교 총장이나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등 외부의 유망인사들이 ‘총대’를 멜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외부주자들이 먼저 대권선언을 해 신당을 만들면 범여권이 여기에 합류한다는 시나리오다. 그러나 이번 예비후보 등록 개시가 그 직접적인 계기가 되기에는 ‘인센티브’가 약하다는 게 정치권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이에 따라 대선레이스의 최종구도는 적어도 범여권의 신당 출범여부가 판가름나고, 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의 지지율 변화 지속여부가 명확해질 5월 중순~6월 중에나 점쳐볼 수 있을 것이란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