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칸막이식 개편은 융합시대 역행


필자가 근무하는 대학에서 올해 처음으로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산업 융합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 바 있다. 학생들에게 학제 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 창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하에 반드시 이공계와 인문사회 전공학생들이 함께 팀을 만들도록 지원 조건을 명시하고 제출된 아이디어가 실제 어느 정도 협업이 이뤄졌는지를 중점 평가했다.

기획 단계에서 학생들의 참여 부족 등을 우려했던 것이 사실이나 12팀이라는 많은 학생이 참여했다. 시각장애인과 버스기사 간의 알람ㆍ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이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외국인 관광객용 공연 자막 서비스, 교통 위험 상황 시 음향 출력장치가 내장된 사고 방지 이어폰 등의 번뜩이는 아이디어들로 넘쳐났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새로운 경제 비전으로 '창조 경제론'을 주창했다. 또 구체적 실천 전략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을 제조ㆍ서비스업 등 산업 전반에 적용ㆍ융합, 새로운 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뒀다. 결국 '창의' '창조' '융합'이 새로운 경제 정책의 핵심 키워드이고 창의적 융합 인재나 창조적 융합 신산업 창출을 강조한 것이다.

관련기사



융합은 정의 자체가 매우 모호한 특성을 가졌다. 그러나 만일 기존의 범주를 넘어서서 다른 부문과의 소통과 창의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면 이 정의 속에 새로운 정부의 경제 정책이 지향하는 모든 것이 압축됐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보수적이고 변화에 느리다는 대학에서도 기존의 학과나 전공의 벽을 낮춰 새로운 교육 과정을 추구하는 융합 학과나 융합 대학원을 설치하고 더 나아가 문ㆍ이과 구분을 입학 단계에서부터 없애자는 움직임이 있다. 산업계에서도 융합이 대세라는 인식하에 서로 다른 산업이나 업종 간의 교류를 통한 신상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더 나아가 종전에 기술 융합이 주종을 이뤘다면 최근에는 'R&SD'라는 용어로 대표되듯이 사회문제 분석을 토대로 사회적인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인문사회 지식과 과학기술이 접목되는 창조적 융합 해결 방안으로까지 확대되는 추세다. 이 모두가 그동안 우리의 굴레가 된 칸막이를 걷어내 새로운 가치나 성과를 추구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새 정부 정책도 시대 요구에 부합하는 창조적인 사고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