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속도로 안전벨트 착용률 75.5% 불과

교통안전공단, 고속도로 안전벨트 착용 실태조사 발표

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상호)이 최근 발표한 ‘고속도로 안전벨트 착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좌석의 안전벨트 착용이 의무화된 고속도로에서의 안전벨트 착용률이 75.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나이가 많을수록 운전경력이 적을수록 착용률이 높았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승합이나 화물보다는 승용차 탑승자의 착용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내용은 교통안전공단이 한국도로공사 호남지역본부와 함께 지난 4월 13일부터 3일 동안 호남고속도로를 통행한 승용·승합·화물차량 1만800대(탑승자 1만6,257명)와 휴게소 이용객 26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안전벨트 착용실태 분석 결과 드러났다. 먼저 고속도로 통행차량의 탑승객 1만6,257명 중 전좌석 안전벨트를 착용한 사람은 1만2,279명(75.5%)이었으며, 탑승 위치별 로는 운전석이 85.2%로 나타나 가장 높았고 조수석은 77.2%로 나타났다. 뒷좌석의 경우 탑승객 895명 중 60명(6.7%)만이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어 교통사고 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벨트 착용률 제고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참고로 프랑스, 독일, 스웨덴 등 선진국의 경우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이 80~89%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승용차 78.2%, 화물차 73.5%, 승합차 69.7% 순으로 다인승 차량으로 교통사고에 취약한 승합차가 화물차보다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자가운전이 대부분인 승용차의 경우 운전석은 90.9%, 조수석은 80.3%, 뒷좌석 11.3%로 전 좌석 평균 78.2%를 보여 전년(81.9%)대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안전띠 착용이 취약한 승합차의 경우 운전석 69.7%, 조수석 73.9%, 뒷좌석 3.4%로 나타났다. 도로교통법에서는 고속도로에서의 앞·뒤 전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의무화 하고 있으나 일반도로에서는 앞좌석만 규제하고 있어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연간 600여명에 이르고 있다. 정상호 이사장은 “해마다 차내 교통사고 사망자가 2,000명에 이르고 있다”며 “전좌석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연간 600여명의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만큼 ‘안전벨트 착용에 대한 단속과 지도와 병행해 모든 도로에서 뒷좌석에 탄 동승자에게도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 하는 규정의 법제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