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택시장 장기침체땐 2금융권 부실화"

금융硏 "PF대출 비중높은 저축銀 타격 클것"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할 경우 지방의 건설업체들과 제2 금융권부터 부실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신용상 연구위원은 23일 ‘주택경기 침체와 주택금융 리스크 관리’라는 보고서에서 “주택 미분양 사태와 원자재난이 지속될 경우 여신 축소와 담보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수익 기반과 신용도가 낮은 지방 건설업체들과 제2 금융권이 부실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신 연구위원은 “은행권의 경우 대형 시공업체들을 지급보증인으로 내세우고 있는데다 전문 평가기관을 통해 사업성을 검토하기 때문에 부실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저축은행들의 경우 사업조건을 제대로 충족하지 못해 은행 대출이 어려운 중소형 건설업체들에도 브리지론 형태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을 제공했기 때문에 연체 및 부실 위험이 높다”고 밝혔다. 신 연구위원은 “특히 저축은행업계의 경우 일부 대형 저축은행들의 PF 대출 비중이 과도하게 높아 이들이 부실화할 경우 저축은행업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저축은행들이 후순위채 발행, 유상증자 등으로 자금 조달을 원활히 하고 PF보다 신용대출이나 집단대출 등 소매금융으로 자산운용 및 수익선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저축은행 등 제2 금융권은 협상이 진행 중인 금융권의 대출연장 자율협약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