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요르단…수단…주변국도 반정부 시위 강도 높여

[이집트 민주화 시위] <br>경제문제서 독재 청산으로 확산<br>튀니지는 국가비상사태 내주 해제

아랍권의 맹주 이집트의 민주화 시위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주변 북아프리카 및 중동 국가들에서도 반정부 시위가 탄력을 얻고 있다. 시위대의 요구사항은 당초 물가안정 및 실업해결, 부정부패 척결 등에서 점차 독재정권 청산 및 정치체제 변화로 강도를 높이고 있다. 반면 '재스민 혁명'의 불을 댕긴 튀니지는 점차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어 지난 1월15일부터 이어온 국가 비상사태 상황을 다음주쯤 해제할 방침이다. 요르단에서는 4일(현지시간) 1,000여명의 시민들이 수도 암만의 총리 사무실 주변에 운집해 "국민은 변화와 개혁을 바란다"며 시위를 했다. 고물가와 고실업 등 경제난에 대한 불만이 정치개혁 추진으로 변한 것이다. 앞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은 1일 국민의 원성을 샀던 기존 내각을 해산하고 새 내각을 구성하도록 했다. 아프리카 수단에서도 1월 초부터 시위대가 식료품 가격안정과 인권문제 해결 등을 촉구해오다가 튀니지와 이집트의 대규모 시위에 고무돼 요구사항을 정권퇴진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주로 대학생들이 23년간 독재를 이어온 오마르 알바시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수주일간 지속하자 경찰은 유혈진압으로 강력히 맞서고 있다고 목격자들은 전했다. 유럽 내 이슬람 국가인 알바니아에서도 부정부패에 항의하며 정권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2주째 이어지고 있다. 아랍권에서 민주화 시위가 이처럼 도미노식으로 확산되자 위기의식을 느낀 각국 정부는 경제안정과 정치개혁 등을 약속하며 서둘러 민심 달래기에 나서고 있다. 튀니지 및 이집트와 국경을 맞댄 알제리의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은 3일 19년간 지속된 국가비상령을 해제하겠다고 밝혔다. 바레인의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국왕도 이날 정부가 서민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식량 보조금과 사회보장비를 증액하도록 지시했다. 43년째 권좌를 지켜온 무아마르 알 카다피 리비아 국가 원수는 튀니지 시위에서 독재자 지네 엘아비디네 벤 알리 전 튀니지 대통령을 노골적으로 두둔했지만 최근 이집트 사태는 공식발언을 삼가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