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FTA·무역협정등 통상 현안 논의

韓·中·日 통상장관회담 22일 서울 개최

한국ㆍ일본ㆍ중국 3개국 간의 통상장관회담이 다음주 열려 자유무역협정(FTA) 등의 통상현안이 논의된다. 21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 등 한ㆍ일ㆍ중 3국 대표단 45명이 참석하는 제7차 한ㆍ일ㆍ중 통상장관회담이 오는 23일 서울에서 개최된다. 이번 회담에서는 이달 초 산관학 공동연구를 시작한 한ㆍ중ㆍ일 FTA, 한ㆍ중ㆍ일 투자협정 협상 등과 같은 3국 간의 협력사안 ▦선진 및 주요20개국(G20),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세계무역기구(WTO), 도하개발어젠다(DDA) 등의 지역ㆍ글로벌 협력 사안 ▦3국이 제기한 기타 관심사항 등이 논의된다. 특히 통상 장관들이 최근 열렸던 한ㆍ중ㆍ일 FTA 추진을 위한 산관학 공동연구 1차 회의에 대해 보고 받고 FTA 실현 가능성과 FTA 체결시 포함 가능한 분야 등을 추가 논의한 뒤 이를 이달 말 개최되는 한ㆍ중ㆍ일 정상회담에 보고할 계획인 것은 주목되는 대목이다. 3국은 한ㆍ중ㆍ일 FTA에 산관학 공동연구를 오는 2012년까지 종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차 회의는 9월 일본에서, 3차 회의는 11월 중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3국 통상장관들은 회담을 마친 뒤 공동 언론발표문을 통해 회담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3국 회담을 계기로 한중, 한일 통상장관회담도 병행 개최돼 양자 간 현안 및 관심사항에 대해 각각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한중 회담에서는 이달 초 양국 정상이 상하이회담에서 합의한 대로 현재 진행 중인 한중 FTA 공동연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후속조치를 본격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일 회담에서도 협상중단 상태에 놓여 있는 한일 FTA 문제 등이 의제로 오를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부가 회담 명칭에 대해 기존의 한ㆍ중ㆍ일이 아닌 한ㆍ일ㆍ중 통상장관회담으로 부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이에 대해 외교부 측은 회담 개최국을 맨 앞에, 차기 개최국을 두 번째에 넣어 부르기로 한 원칙에 따라 일본이 차기 개최국이기 때문에 한ㆍ일ㆍ중 통상장관회담으로 부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