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아·태 전문가 2인의 주제발표 요약

세계경제연구원은 12일 미국 국제금융연합회(IIF)와 공동으로 ‘세계화 시대의 한국 금융산업’에 관한 국제금융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사공일(가운데) 이사장의 사회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데이비드 엘든 전 HSBC 회장(왼쪽 두번째부터), 신상훈 신한은행장, 호리구치 유스케 IIF 수석부총재, 허버트 나이스 전 IMF 아태담당 국장 등 국내외 금융 전문가들이 참석해 금융시장 글로벌화와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12일 ‘세계화 시대의 한국 금융산업’ 콘퍼런스에 참석한 국제적인 금융 전문가들은 아시아 지역의 지속적인 성장 잠재력에 주목하는 한편 미국과 아시아의 경상적자 불균형 조정 과정에서의 시장불안과 투자부진, 지나친 낙관론 등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를 높였다. 국제통화기금(IMF) 아태국장을 역임했던 호리구치 유스케 미 국제금융연합회 수석부총재와 국내 외환위기 당시 IMF 아태국장을 지낸 허버트 나이스 도이체방크 자문이 각각 세계와 아시아 지역의 경제ㆍ금융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한 주제발표 내용을 요약한다. 호리구치 美국제금융연합회 수석부총재 "고유가·경상수지 불균형 글로벌 경제 위협할 수준" ◇호리구치 유스케 미 국제금융연합회 수석부총재=세계 경제는 낮은 인플레 수준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성장을 이루고 있다. 성장과 인플레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세계 경제의 호조 배경에는 낮은 수준으로 지속되는 인플레와 높은 기업이익, 경상흑자를 바탕으로 한 신흥시장의 펀더멘털 개선이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세계 경제를 위협하는 도전 요인도 무시할 수 없는 시점에 도달했다. 고유가와 경상수지 불균형이 그것이다. 국제유가는 지난 2002년 배럴당 20달러 수준에서 현재 65달러 수준으로 높아졌다. 원자재 가격 급등은 어느 정도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원유나 철강금속의 급격한 추가 가격상승 가능성은 문제가 될 수 있다. 경상수지 불균형은 미국의 내수 성장과 유럽과 일본의 내수 위축, 그리고 신흥국가들의 경쟁력 강화 및 외환보유고 확대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특히 신흥국가들은 경상흑자가 높아지는 반면 투자가 부진, 미국의 경상적자와 글로벌 불균형이 가중되고 있다. 또 신흥국가들은 외환보유고 증가 추세가 이어지면서 높은 통화가치 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 이는 인플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한편 경상수지를 악화시키게 된다. 미래의 리스크도 의식해야 한다. 미래의 리스크 요인은 ▦각국의 보호주의 정책 도입 ▦지정학적인 긴장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 에너지 등 관련 문제 ▦자산가격 버블 형성 ▦금융시장의 무사안일주의 등이다. 특히 금융 부문에서 과거 고성장이 지속된 데 따른 부작용으로 대출기준 등 시장규율이 위험수위까지 완화될 경우 금융재앙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허버트 나이스 前IMF 아태국장 "한국, 선진국 도약 위해 금융·노동 더 개혁해야" ◇허버트 나이스 전 IMF 아태국장=외환위기로 인해 비관론에 빠진 아시아 경제가 회복 이후 다시 낙관론으로 돌아섰다. 하지만 고속 성장과 장밋빛 전망 속에서도 신중하고 균형 잡힌 관점으로 아시아를 조망할 필요가 있다. 외환위기 이후 지난 10년 간 아시아는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특히 ▦경제 자유화와 구조조정을 비롯한 경제 전반의 개혁과 ▦그로 인한 강한 성장세 및 대외 포지셔닝의 회복을 두드러진 변화로 꼽을 수 있다. 경상수지는 흑자로 돌아섰고 외채는 감소했고 외환보유고는 급증했다. 외환보유고 누적이 환 위험을 높이고 외환 유동성을 제한한다는 비판도 있는데, 앞으로는 환 유동성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앞으로는 외환보유 통화를 다각화하고 해외에 대한 물리적 자산투자와 시장개방 강도를 높이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면서 환보유고 증가세도 둔화될 것으로 본다. 한국의 경우 1인당 국민소득은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을 밑도는 수준이다. 개혁을 통한 성과를 낙관하기보다는 지금까지의 높은 성장을 제약하는 에너지 문제나 인구구성 비율, 인프라 문제 등의 여건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제의 성패를 위해서는 교육과 연구ㆍ의료 부문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책 입안자들이 예산 수요를 다각화하고 균형잡힌 성장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금융과 노동, 대외 자유화 부문의 추가 개혁도 필요하다. 또 장기적으로는 사회안전망 확충을 통해 사회의 조화를 이루고 아시아 경제ㆍ금융 통합을 이뤄야 한다. 성장을 유지하면서 안전망을 확대하거나, 국가별 대립을 극복하고 경제 통합을 이루기는 쉽지 않지만 아시아의 미래는 밝다고 확신한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