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여의도 한강변 아파트 상업지역으로 바뀐다

주거지역에서 종 상향<br>최고 50층까지 재건축


서울 여의도의 중층아파트단지 일대가 3종 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종 상향된다. 이에 따라 이들 단지 일대에는 최고 50층 이하 고층아파트는 물론 랜드마크 업무단지도 들어서게 된다. 시범ㆍ삼부ㆍ한양ㆍ광장ㆍ미성아파트 등 재건축 예정 아파트들이 밀집한 이 일대는 종 상향으로 상한 용적률이 최고 600%까지 두 배 이상 높아지게 된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정비계획안을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해 최근 사전자문을 거쳤다. 이에 앞서 지난달에는 재건축 예정 아파트의 주민 대표를 대상으로 설명회까지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전략정비구역인 여의도 일대 아파트는 중층단지가 많아 종 상향이 이뤄지지 않고는 정비사업을 하기 어렵다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며 "올해 안에 영등포구에서 정비계획 열람공고를 내고 정식 주민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현지 부동산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 토지 기부채납 비율은 기존에 알려진 25%에서 28%로 3%포인트 상향 조정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여의도전략정비구역의 전체 면적이 61만4,301㎡임을 감안하면 17만2,000㎡가량을 공원 등의 용도로 시에 납부해야 하는 셈이다. 대신 문화체육시설 등의 설치비용을 토지로 환산해 용적률을 올려주는 '공공시설설치 비용부담률'은 기존 15%에서 12%로 낮춰 총 공공기여율(토지 기부채납률+공공시설설치 비용부담률)은 40%로 고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복합문화시설 등의 연면적을 줄이고 토지를 더 기부 받아 녹지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다만 토지 기부채납 비율이 워낙 높아 실제 사업추진 단계까지는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이성래 광장아파트 추진위원장은 "현재 기부채납 비율로는 주민들의 동의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상한 용적률 600%는 그대로 유지하되 토지 기부채납 비율을 20%까지 낮춰달라고 시에 제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