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명박·정동영 이번엔 기업정책 격돌

李 "친기업 정책 필요"…鄭 "사회적 책임 중요"

이명박·정동영 이번엔 기업정책 격돌 李 "친기업 정책 필요"…鄭 "사회적 책임 중요" 온종훈 기자 jhohn@sed.co.kr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대선후보와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29일 금산(금융과 산업)분리에 대한 견해차에 이어 기업정책을 놓고 또 한차례 격돌했다. 이 후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책이 달라야 하지만 친기업적인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밝힌 반면 정 후보는 금산분리 완화 불가 입장을 거듭 확인하고 "대ㆍ중소기업 상생, 기업투자, 노동시장 안정성 등에서 대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해달라"고 요구했다. 당초 예고된 내용과 달리 두 사람은 실제 연설과 토론과정에서 상당히 중립지대로 옮겨왔으나 정 후보는 중소기업 육성에, 이 후보는 대기업 중심의 성장 견인에 방점을 찍었다. 정 후보는 이날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방문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정부가 아니라 기업"이라며 "기업 발목을 잡는 일은 정치가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기업은 지난 10년간 튼튼해지고 경영도 투명해진 반면 중소기업은 세계적 기업이 된 케이스가 없다"며 "대ㆍ중소기업 상생을 위해 전경련이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특히 편중된 대ㆍ중소기업 하청관계와 인재의 대기업 쏠림현상을 설명하고 중소기업들이 가업상속을 원한다면 고용을 10년간 유지한다는 조건 아래 상속세를 탕감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그는 또 "노동시장 유연성도 중요하지만 안정성도 중요하다"며 "대기업이 노조를 파트너로 인정하는가, 투명경영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는가. 전경련이 무엇부터 하겠다는 얘기를 먼저 해달라"며 대기업의 책임론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대한상의 특강에서 "중소기업이 어렵고 대기업의 국내 투자도 과감하게 안 되는 이유는 고임금과 노사문화, 비싼 집값 등도 있지만 사회 전반적 환경이 친기업적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한 뒤 "지난 10년간 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하지 않았고, 특히 최근 5년간 투자 성장률은 거의 1%에 머물렀다"며 참여정부의 반기업적 정서가 한몫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경제성장 전략으로 "적극적인 지원이 없어도 되는 경쟁력 있는 대기업은 규제만 없애는 등 길을 열어주고 중소기업 정책은 미래를 위해 철저히 세우도록 하겠다"고 대ㆍ중소기업 동시 육성책을 약속했다. 이 후보는 또 성장우선론자라는 비판을 의식한 듯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 및 국민 사이의 격차를 어떻게 줄이면서 성장할까 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GDP 2만달러를 넘어 선진국으로 가는 데 성장과 분배가 적절히 조화를 이뤄야 하는 시대가 왔다"고 강조했다. 입력시간 : 2007/10/29 17:3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