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ISTI의 과학향기] 삶의 질 높이는 '재건성형'

영화 '페이스 오프'같이 얼굴 이식<br>기능·형태 복구넘어 흉터도 최소화


지난 2005년 5월, 수면제를 먹고 잠든 사이 애완견이 물어뜯어 얼굴이 심하게 망가진 여성이 있었다. 영화 '페이스오프'의 실제판으로 불린 이 여성은 바로 프랑스의 이사벨 디누아르. 다행히 그녀는 같은 해 사망한 여성의 코, 입, 뺨을 이식받았다. 세계 최초로 시술된 얼굴 전면 이식 수술이었다. 수술 뒤 그녀는 꾸준히 연습해 꽤 자연스러운 표정을 지을 수 있게 됐다. 또 수술 초기에 늘 벌려 있던 입도 다물 수 있게 돼 거의 정상적인 얼굴을 되찾았다. 보통 성형수술이라 하면 '미용성형'을 떠올리지만, 성형수술의 역사는 이처럼 기형적이거나 손상된 신체 부위를 원형으로 복원하는 '재건성형'에서 시작됐다. 유방 재건 수술을 예로 들어보자. 유방의 종양을 수술로 제거하고 나면 종양이 있던 자리가 텅 비게 된다. 여기에 실리콘 주머니를 삽입한 다음 오랫동안 천천히 실리콘 주머니에 생리 식염수를 넣으면 피부가 확장된다. 그 다음 처음 넣었던 실리콘 주머니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보형물을 삽입하면 된다. 보형물을 삽입하는 대신 환자의 자가조직을 이식할 수도 있다. 이를 '피판술'이라 한다. 유방 재건에 사용하는 자가조직에 복직근, 광배근 등이 있다. 복직근은 배꼽과 치골 사이의, 광배근은 옆구리에서 등으로 이어지는 근육이다. 특히 광배근은 겨드랑이를 통해 기존에 근육에 공급되는 혈액의 흐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이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유리 피판술'이라고 부른다. 조직을 떼어낼 때 혈관도 잘려나가는데 이 혈관을 이식한 부위의 혈관과 이어 봉합한 뒤 혈액의 흐름을 재개시킨다. 하지만 유리 피판술은 혈관을 봉합할 때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큰 혈관이 지나는 곳까지 들어냈기 때문에 떼어낸 부위의 부피가 크고 이식받은 부위에도 흔적이 남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나온 최근 기술이 '천공지 유리 피판술'이다. 천공지는 근육을 뚫고 피부로 올라오는 미세 혈관. 이사벨 디누아르의 경우 자가조직이 아닌 사망한 다른 여성의 얼굴 조직을 천공지 유리 피판술로 이식했다. 이때 혈관을 잇는 것은 가능하지만 신경까지 이을 수는 없기 때문에 이식한 피부의 감각을 느낄 수는 없다. 과거의 재건성형은 기능의 복구나 정상 형태의 재건에만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요즘에는 수술 기술이 발달하면서 흉터를 최소화시키는 등 환자의 심리적, 환경적 요인까지 고려하고 있다. 이는 재건성형이 환자의 '삶의 질'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한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