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경제 부담 없도록 한계기업들 신속 구조조정해야

동부그룹의 유동성 위기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일부 대기업의 부실에 대한 금융당국과 채권단의 감시가 강화되고 있다. 특히 채권단은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과 협의를 거쳐 최근 A그룹과 B그룹을 신설된 '관리대상계열'로 선정한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관리대상계열은 재무제표상으로 볼 때 문제는 없지만 갑자기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 그룹으로 신규 사업이나 해외 투자 때 주채권은행과 사전협의를 해야 함은 물론 중요한 영업활동 내역도 제공해야 한다. 이 같은 사태전개는 한층 강화된 기업부실 방지책이 요구될 정도로 비즈니스 환경이 열악해졌다는 방증이다.

관련기사



그러잖아도 많은 기업에 부실 조짐이 농후해지고 있다. 주채권은행과 약정을 체결해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해야 하는 재무구조개선약정 대상 기업은 동부그룹을 포함해 벌써 14곳까지 늘어나 이젠 온전한 기업을 찾기 어려울 정도다. 기업들의 신용등급도 줄줄이 하락하고 있다. 올 들어 회사채(무보증 선순위 회사채 기준)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된 기업은 총 20개사에 달해 11년래 최악의 수준이고 우량기업인 포스코마저 20년 만에 처음으로 'AAA' 신용등급을 잃었다.

인수합병(M&A) 시장에는 매물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동부하이텍과 동부제철 인천공장, 동부당진발전, 팬오션(옛 STX팬오션), 팬택, 쌍용건설 등의 매각이 이미 정해졌고 이 밖에 다른 재무구조개선약정 대상 기업에서도 추가 매물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어차피 대대적인 기업 구조조정은 불가피해졌다. 다만 구조조정이 국가 경제에 부담을 줘서는 곤란하다. 매물이 잔뜩 쌓인 채 매각작업이 지지부진한 상황이 이어진다면 해당 기업에 '낙인' 효과가 나타남은 물론 가뜩이나 침체된 경제에 심각한 동맥경화가 초래될 우려도 있다. 1990년대 말 외환위기 당시 우리 경제는 신속하고 과감한 구조조정으로 활력을 되찾을 수 있었다. 이번에도 구조조정이 철두철미하면서도 전광석화(電光石火)처럼 진행돼야 경제가 다시 건강해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