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민간인 불법사찰 일파만파] 총선 영향은

폭로전 변질… 판세 판단 아직일러


4ㆍ11총선의 최대 변수로 떠오른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속단하기 어렵다. 민간인 불법사찰이 정권심판론으로 이어지며 야권에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될 수도 있지만 현 정부와 지난 정부의 폭로전으로 변질된 상황에서는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 특히 청와대의 공세가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을 직접 겨누고 있어 자칫 지난 정부의 민간인 불법 사찰이 추가 공개된다면 오히려 야권에 악재로 작용할 수도 있다.


현 상황으로는 새누리당에 불리한 것이 사실이다. 민간인 불법사찰 은폐 의혹이 이명박 대통령으로 이어질 경우 30~40대 유권자가 승패의 키를 쥔 서울과 수도권은 물론이고 부산ㆍ경남 등 친노세력이 치고 올라오면서 경합지역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나도 불법사찰의 피해자’라며 한발 비켜서고 새누리당이 특검과 권재진 법무부 장관 사퇴를 요구한 것도 이 때문이다.

관련기사



민주통합당도 상황이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자칫 참여정부 시절 불법사찰이 그대로 드러날 경우 도덕성을 무기로 새누리당을 비판했던 민주통합당도 정치적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에 대한 새누리당 내의 분위기도 양비론으로 흐르고 있다. 새누리당의 한 후보는 “청와대도 80%가 됐든, 일단 사실을 인정하고 먼저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며 “야당도 ‘내가 하면 로맨스고 니가 하면 불륜’이라는 식으로 몰고 가서 총선에서 한 건 하자는 식으로 가는 행태는 이제 그만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