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金대통령 ‘동교동계’ 해체지시

김대중 대통령이 2일 사실상 DJ정권 창출의 본산인 `동교동계`의 해체를 지시했다. 김 대통령은 퇴임후 국내정치 문제에 초연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앞으로 어떤 일이 있더라도 `동교동계`라는 말의 사용, 모임 또는 동교동계라는 것을 이용하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는 뜻을 박지원 청와대 비서실장을 통해 민주당 인사들에게 전달했다고 박 실장이 이날 전했다. 박 실장은 “김 대통령은 퇴임후 평범한 국민으로서, `전직대통령`으로서 현직 대통령이 성공할 수 있도록 하고 우리 대한민국이 발전하고 세계평화가 유지되도록 협력하는 일에 전념할 것이며, 국내 정치문제에는 일절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통령이 동교동계의 해체를 언급한 것은 새로운 정치질서 구축의 물꼬를 터주려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 시대의 출범에 앞서 새로운 정치질서 구축의 진통을 겪고 있는 민주당을 사실상 백지상태로 만들어 놓음으로써 새로운 정당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배려하려는 뜻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김 대통령 직계라는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는 동교동계가 당 개혁 과정에서 여전히 집단행동을 하면서 `계보정치`와 `세대결`이라는 구시대적 정치 행태를 계속, 당의 제2 창당에 누가 될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는 해석이다. 박 실장은 “민주당내 당권경쟁이 본격화되면 동교동계라는 용어가 다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동교동계라는 말이 나와서도 안되고 동교동계라는 모임이 있어서도 안되며, 이를 이용해서도 안된다는 것이 김 대통령의 뜻”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국정을 완전하게 파악해 성공적으로 취임할 수 있도록 청와대 비서실과 내각에서 철저하게 (정권) 인계에 협조하라”고 지시했다고 박 실장이 전했다. 김 대통령은 또 “당면한 현안인 북핵, 경제, 민생문제 등에 대해선 임기 말까지 중심에 서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면서 “당선자측과 철저히 협의해 추호의 흔들림없이 집행해 나가라”고 지시했다. 동교동계는 김 대통령이 지난 71년 대통령선거에 출마한 이후 군사정권 시절 각종 박해와 탄압을 받을 당시 김 대통령을 따르는 측근과 정치권 인사들을 중심으로 형성됐으며, 김 대통령의 자택 소재지인 동교동의 명칭을 따 그동안 `동교동계`로 불려왔다. <안의식기자 esahn@sed.co.kr>

관련기사



안의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