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시 "해외미군 6만-7만 美 본토로 철수"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앞으로 10년에 걸쳐 아시아와 유럽 등 해외주둔 미군 가운데 6만-7만명을 미 본토로 철수시키는 등 냉전이후 최대의 해외주둔 병력 재배치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시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해외참전용사회 총회에 참석해 "앞으로 10년에 걸쳐 우리는 더 민첩하고 더 유연한 병력을 배치할 것"이라면서 "그것은 더 많은 우리 병력이 이곳 국내에 배치될 것임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에 따라 민간 군속과 가족 등 10만명도 미 본토로 돌아와 더욱 안정된 생활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 행정부는 그동안 21세기 새로운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군을 더욱 신축적으로 운용한다는 방침에 따라 미군의 본토 철수나 기존 주둔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의 신속한 배치를 위한 해외주둔미군재배치계획(GPR)을 공개적으로 검토해왔다. 부시 대통령의 이날 발표는 새로운 내용은 없으나 대통령이 이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부시 대통령의 이날 발표는 또 선거를 앞두고 군인들과 참전용사들의 표를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한 정치적인 의도도 포함돼 있다고 미 언론들은 전했다. 미국이 지금까지 발표한 구체적인 GPR 내용에는 주한미군 1만2천500명 감축 계획도 포함돼 있으나, 부시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구체적인 대상 국가나 국가별 감군 숫자는 밝히지 않았다. 미국은 한국과 주한미군 감축시기와 감축 병력을 협의중이다. 부시 대통령은 "우리 군인들은 복무중 국내 전선에서 더 많은 시간을 갖고, (자기 미래에) 더 많은 예상을 할 수 있게 되며, 더 적은 (부대) 이동을 하게될 것"이라면서 "군인의 배우자들은 더 적게 직업을 바꾸게될 것이고 더 큰 안정을 얻을 것이며 아이들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갖고 집에서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것"이라고 말했다. 스콧 매클렐런 백악관 대변인은 이와관련 "병력재배치는 갑자기 이뤄지는 것이아니고 앞으로 10년간에 걸쳐, 우방 및 동맹국들과의 긴밀한 협의하에"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들은 독일에서 미국으로 돌아오는 병력은 제1기갑사단과 제1보병사단을 포함할 것이며 이 부대들은 더 적은 병력을 가진 여단으로 교체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병력 감축은 빨라야 2006년에나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이들은 덧붙였다. 이들 국방부 관계자는 독일에서 철수하는 병력은 약 3만명에 이를 것이라면서그 대신 전력보강의 일환으로 3천600명 규모의 기동타격 전투여단을 충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민주당의 존 케리 대통령 후보에 대한 정치적인 공격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요전날 나의 상대자는 자신이 당선되면 이라크 주둔 미군 병력을 6개월내에 상당수 감축할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그것은 적에게는 손쉽게 6개월 하루를 기다릴 수 있다는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이며, 우리 병력에게는 임무완수가 필요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는 잘못된 신호를 보내고, 미국이 말한대로 행동할 것인지 궁금해하는 이라크 국민에게도 잘못된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케리 선거팀은 즉각 반박했다. 케리선거팀의 필 싱어 대변인은 부시대통령은 군을 과도하게 확장해 몇년만에 가장 엷은 수준이 됐다면서 그래서 수천명의 군인들이 강제로 배치를 연장하게 됐다고 비난했다. 싱어 대변인은 또 "그(부시)가 미국 제대군인들에 대한 약속을 어기고 그들이좋은 건강보험에 접근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면서 "조지 부시는 (케리를) 공격하는데 너무 바빠 그 사실들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했으며, 그는 신뢰성이 없다"고말했다. 한편 부시 대통령의 연설 후 CNN에 출연한 리처드 홀부르크 전 유엔대사는 "독일과 한국에서 미군을 감군하는 것에 대해 독일과 한국측은 매우 불만을 갖고 있다"며 "이는 또 하나의 부시 행정부 일방주의로, 미국의 안보 강화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비용 측면에서도 절감 효과가 없다"고 비판했다. 클린턴 행정부 때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를 지낸 홀부르크 전 대사는 현재 케리후보의 외교안보분야 보좌역을 하면서 케리 후보가 당선될 경우 국무장관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대영.윤동영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