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강남 아파트 매매가, 전세가의 3배 넘어

韓銀 "거품 있다"…전국 평균은 2.1배 <br>땅값 상승률 최고는 충남..전북의 11.5배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계속 확대돼 전국적으로 2배를 넘었으며 특히 강남지역은 3배를 훨씬 웃돌고 있다. 또 충남지역의 땅값 상승률은 전국 최고로 가장 낮은 전북의 11.5배에 달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의 지방금융경제동향'에 따르면 7월말 현재 전국의 아파트 평당 매매가격은 669만8천원으로 평당 전세가격 312만4천원의 2.14배를기록했다. 아파트 매매가격이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2001년 6월말의 평당 매매가는398만2천원, 전세가는 254만8천원으로 매매가가 전세가의 1.56배에 불과했었다. 특히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등 강남지역의 평당 매매가는 2천95만8천원, 전세가는 642만3천원으로 그 격차가 3.26배에 이르렀다. 강북지역의 평당 매매가는 850만7천원으로 전세가(429만원)의 1.98배에 그쳐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서울을 제외한 지방은 1.90배로 조사됐다. 한은 관계자는 "매매가가 전세가에 비해 어느 정도 돼야 적당하다는 기준은 없지만 3배 이상으로 벌어진 것은 과다한 것이며 거품(버블)도 끼어 있는 것으로 봐야한다"고 말했다. 2.4분기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의 전분기대비 상승률은 서울 4.4%, 경기 4.3%,대구 3.7%, 경북 2.8%, 대전 2.5%, 경남 2.4% 등이었으며 전국 평균은 2.4%로 전분기(0.7%)보다 확대됐다. 최근 2년동안 땅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충남으로 2003년6월말 102.3이었던 지가지수가 지난 6월말에는 122.2로 상승률이 19.5%에 이르렀다. 이는 전국에서 상승률이 가장 낮은 전북(1.7%)의 11.5배다. 충남에 이어 경기 12.0%, 서울 10.2%, 인천 8.3%, 충북 7.2%, 대전 6.7% 등이뒤를 이었으며 전국 평균은 8.1%로 조사됐다. 2.4분기중 지방경제는 수출이 12.7%증가해 두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갔으나 1.4분기(18.0%)보다 낮아졌으며 설비투자 기업실사지수(BSI)도 97로 개선이 미흡했다. 그러나 대형소매점 판매액이 작년동기 대비 4.0% 늘어나 1.4분기(3.0%)보다 소비가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설수주도 43.7% 증가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