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재식의 스마트 골프] <8> 러프에서의 샷

임팩트 후에는 왼쪽 손등이 타깃 바라보도록 <br>긴 풀 위에 떠있을 땐 한 클럽 짧게 잡아야

어드레스 때 클럽헤드를 약간 열어준다.

깊은 러프에서 샷을할때는 임팩트 후 폴로스루 단계에서 팔뚝의 회전을 생략해야 클럽헤드가 풀에 의해 감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왼쪽 손등의 장갑 로고가 타깃을 향하도록 하면(사진 왼쪽) 도움이 된다.


골프 코스에서 가장 자주 만나는 장애물은 무엇일까요. 아마도 러프 지역일 겁니다. 벙커와 워터해저드가 우선 떠오르겠지만 면적으로 보나 볼이 떨어지는 빈도로 보나 러프에서 샷을 하는 경우가 훨씬 많겠지요. 러프 지역에서는 우선 볼이 놓인 상태, 즉 볼이 얼마나 풀 속에 잠겨 있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아마추어 골퍼의 경우 얕은 러프 위에 살짝 얹혀 있는 볼은 풀이 짧게 깎인 페어웨이에서보다 오히려 편안하게 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볼이 절반 이상 잠겨 있을 때입니다. 클럽헤드가 파고들어갈 공간도 거의 없고 풀의 저항도 크기 때문이죠. 깊은 러프에서는 어드레스 때 페이스를 열어주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러프에서는 임팩트 순간 잔디가 헤드를 휘감으면서 볼이 왼쪽으로 가는 경향이 있죠. 이를 감안해 미리 열어두는 겁니다. 페이스를 열어주면 잔디를 자르?mㄴ서 치게 되므로 저항도 많이 감소합니다. 평소보다 좀더 가파른 각도로 내려치는 다운블로 스윙도 필요합니다. 쓸어내듯이 치면 잔디의 저항을 강하게 받지만 다운블로 스윙은 볼과 풀 사이의 좁은 공간을 파고들면서 저항을 줄여줍니다. 임팩트 직후 폴로스루 단계에서는 팔뚝의 롤링(회전)을 생략합니다. 오른쪽 손등으로 왼손을 덮는 동작 없이 왼쪽 손등이 한동안 타깃을 향하도록 하는 겁니다. 펀치 샷을 날리는 느낌과 비슷한데 이것 역시 헤드가 잔디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무엇보다 깊은 러프에서는 거리를 내겠다는 욕심을 버리고 탈출을 첫번째 목표로 하는 게 현명합니다. 풀이 아주 길 땐 가급적 컨트롤이 쉬운 쇼트 아이언을 선택하는 편이 현명합니다. 볼이 푹 잠겼을 때와 반대로 완전히 잔디 위에 떠 있는 경우도 쉽지만은 않습니다. ‘플라이어 라이(flier lie)’라고 하는 경우죠. 볼과 페이스 사이에 풀이 많이 끼기 때문에 프로들은 거리와 탄도 조절이 까다롭다며 무척 싫어합니다. 생각보다 거리가 훨씬 멀리 날아가 버릴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플라이어 라이에서는 클럽을 짧게 쥐고 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번호 하나 짧은 클럽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백스핀이 적게 걸려 그린에 떨어진 뒤 많이 구른다는 점을 감안해야겠지요. 어떤 경우든 러프에서는 깃대보다 좀더 앞쪽으로 짧게 떨어뜨리도록 공략해야 합니다. /미국 PGA 클래스A 멤버ㆍ화성골프아카데미 헤드프로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