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첨단장비 안써 천안함 수색 지연 자초"

KAIST 안충승 교수

군이 음파를 이용한 수중영상촬영장비(Side Scan sonar) 등을 조기에 동원하지 않아 실종된 천안함 수색작업이 지연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이드 스캔 소나는 수중 물체 파악, 2차원 지형조사 등 수중환경 파악에 필수적인 장비다. KAIST 안충승 특훈교수는 29일 "천안함 침몰 초기 사이드 스캔 소나 같은 첨단 장비를 이용해 선체 위치를 확인하고 2,000t급 이상 크레인으로 2~3일 안에 선체를 인양했어야 한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안 교수는 미국 MIT에서 충격에 의한 구조물 영향 연구로 해양공학 박사학위를 받은 해양ㆍ조선 플랜트 분야 전문가로 현대중공업 사장을 지냈다. 그는 “1,200t 함정이 반으로 갈라져도 600t인데 광양함 정도로는 어림없으므로 2,000~3,000t급 크레인이 있어야 한다. 터보 보트 2∼3대로 끌고 오면 (거제에서) 4∼5일씩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며 굼뜨기만 한 군의 조치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 군은 두 동강난 채 침몰된 천안함 선체 인양 준비를 위해 평택에 있는 3,000t급 바지선을 이달 31일 현장에 투입하고 거제에 있는 2,200t급 해상 크레인을 4~5일 뒤 사고지점까지 예인할 계획이다. 항만 건설사인 삼호I&D가 보유한 2,200t급 해상 크레인은 29일 오후 2시께 3척의 예인선이 이끌려 거제 성포항을 출발했다. 안 교수는 또 “구조와 인양을 병행해야 한다”며 “조류가 빠르지만 해저에 앵커를 박고 인양 시설물을 설치한 뒤 배를 한 쪽부터 들어올리면 물이 빠지면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속보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